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이명호, 임선우
2018.09.13우리는 매일 매일 판단을 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며 산다. 흐린 날씨에 우산을 갖고 나갈 것인 가에서부터 지금 내 기분을 달래줄 어떤 음악을 들을 것인가에 대한 선택을 하면서 집을 나온다. 현실 세계는 복잡한 판단과 의사결정의...
오영환
2017.11.29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황세희, 양보라
2019.07.18한-일 관계가 1965년 청구권협정 체결 이후 최대 위기 국면으로 빨려들어가고 있다. 역사 문제에서 비롯된 이견을 빌미로 일본은 전략물자 수출 문제를 끌어들였다. 이제는 동북아 분업구조 동요를 넘어 안보 문제로까지 치닫고 있는...
이성은 (기초연구센터)
2018.12.07이 책의 메시지는 사실 단순합니다. 창의성 교육도, 학생주도 수업도 다 좋지만 사실적 지식이 전제되지 않으면 아무것도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교육 현장은 창의성 교육 우선주의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으며, 그 결과 학생들의...
문희철
2017.11.17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황세희 (대외협력팀장), 정슬기 (기초연구센터 SD)
2018.12.28고난의 한 해 … 전환기적 고통 깊어야 미래 기약할 수 있다 촛불, 한번 정리하고 갈 때 됐다 대기업들 2세 3세 승계과정서 모두 관료화, 創新 나올 수 없다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는 2019년에 대해 전환기적 고통,...
홍지영 (연세대학교 미래사회통합연구센터 연구교수)
2019.09.11북극항로 (출처: 여시재 나비프로젝트 핸드북 2019, 이성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물류연구본부 본부장 작성) 그린란드는 동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북극항로의 핵 얼마 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준호
2017.12.05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성균중국연구소
2019.03.15작년부터 본격화된 미중 무역분쟁은 미국이 공격하고 중국이 방어하는 모양새이다. 단기적으로 볼 때 중국은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미국에는 역대 최대 무역적자부메랑으로 돌아갔다. 이런 현상이 왜 어제도 아니고...
관리자
2017.09.21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혁신가...
이성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물류연구본부 본부장)
2019.02.28해운은 우리나라 수출산업 상위 10위권 중 유일한 서비스업이다. 그러나 해운의 2015년 매출은 39조 원이었으나 2016년에 29조 원으로 순식간에 10조 원이 증발했다. 세계 8위 해운선사 한진해운의 파산이 결정적이었다. 2016년은 우리나라...
이광재 (여시재 원장)
2019.05.03관중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관포지교(管鮑之交)의 고사를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관중과 포숙아는 참된 우정으로 맺어진 친구임과 동시에 지금의 산둥반도에 위치한 소국이었던 제나라를 춘추시대 최고의 강대국 반열에 올려놓은 뛰어난...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전 YTN 통일외교 전문기자)
2020.08.20미 민주당의 대표적 전략가이자 소프트파워를 창시한 석학 조지프 나이가 바라본 외교와 도덕성 동맹없는 평화주의는 부도덕한 결과 낳을수도 정치지도자에게 교육자로서의 역할도 요구돼 여시재 글로벌...
황세희
2019.07.22일본의 경제보복은 한국 산업의 현주소를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저 기업의 일로 미뤄두었든 것들이 실은 치열한 국제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사활의 문제라는 사실을 드러내고 있고, 특히 국제 분업구조 속에서 한국이...
이대식 (연구조정실장), 이수민 (커뮤니케이션 SD)
2019.01.04脫냉전 후 한반도에 가장 중요한 해 … 정부는 느리더라도 신중하게 움직여야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만나준 자체가 큰 선물 … 김정은이 이제 응분의 결단을 할 때 됐다 2017년이 전쟁 위기에 휩싸인 한 해였다면...
태재미래전략연구원 뉴스레터
태재미래전략연구원의 소식을 직접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