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주간 인사이트] ‘러스트벨트와 월스트리트의 연합전선’이 美·中 무역전쟁 본질이다 - 여시재·성균중국연구소 공동연구 [중국의 변화] ⑤

성균중국연구소| 2019.03.15

작년부터 본격화된 미중 무역분쟁은 미국이 공격하고 중국이 방어하는 모양새이다. 단기적으로 볼 때 중국은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미국에는 역대 최대 무역적자부메랑으로 돌아갔다. 이런 현상이 왜 어제도 아니고...

[동북아협력 워킹페이퍼 #3] 동북아 도시개발 현황과 신규사업: 러시아 극동지역 및 북극항로

박진영 (서울주택도시공사 해외사업단장)| 2021.10.14

여시재는 미중갈등을 극복하고,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을 이끌 실질적인 정책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해 동북아협력 전문가 워킹그룹을 구성했다. 동북아협력 전문가 워킹그룹은 동북아협력 관련 기관의 전·현직 대표...

[강연] “도시의 진화를 고려한 스마트시티의 플랫폼이 중요”

관리자| 2017.04.18

제목: 스마트도시의 미래 일시: 2017년 4월 13일 오후 4시 참석자: 김동근 (POSCO AC 그룹장), 박귀찬(전 POSCO 인재창조원 원장), 김동건 (한샘UDM 상무), 이광재 부원장 4월 6일자 국내의 여러 신문에는 LH공사가 쿠웨이트에...

[중앙일보] 일본, 미국과 손잡고 2020년대 달 유인 탐사

오영환| 2017.11.29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여시재 북리뷰] ‘창의 교육이 창의성 망친다’는 단 하나의 메시지 - 데이지 크리스토둘루 ‘아무도 의심하지 않는 일곱 가지 교육 미신’

이성은 (기초연구센터)| 2018.12.07

이 책의 메시지는 사실 단순합니다. 창의성 교육도, 학생주도 수업도 다 좋지만 사실적 지식이 전제되지 않으면 아무것도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교육 현장은 창의성 교육 우선주의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으며, 그 결과 학생들의...

[왕선택의 미-중관계 위클리 23호] 바이든 취임 첫 미중 고위급 회담... 양국 관계 영향 등에 주목 - 2021년 3월 둘째주 미중관계 위클리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2021.03.16

지난 12일 화상으로 열린 쿼드(Quad) 정상회의 모습. 화면 왼쪽부터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 (출처: 로이터) 2021년 3월 둘째 주, 미국과 중국은 관계 재설정과 관련해 중대...

[시사 인사이트] 미-중 ‘무역전쟁’ ‘기술전쟁’, 그 이면엔 ‘해군력 전쟁’ - 한반도 死活적 상황으로 가고 있다

김연규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18.12.07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전쟁은 무역 그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제적 타격을 중국에 가해 군사비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며칠 전엔 중국 최대 기술기업 화웨이 창업자의 딸이자...

[여시재 토론 / 에너지 전환기의 한국] 디지털 전환, 그리고 국제정치 관점에서 본 ‘에너지의 모든 것’

황세희| 2019.09.25

초연결이 큰 특징인 디지털 전환은 에너지, 특히 전기 수요의 폭발적 증가를 동반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동아시아는 국가 간 에너지망 연계가 전무한 유일한 지역이다. 유럽은 이미 수십 년 전부터 국가 간, 지역 간에 전기를 사고파는...

‘얽힘’의 시대, 도시의 미래를 묻다: 이언 골딘 옥스퍼드대 교수 대담

최원정 연구위원 · 안솔비 연구원 (태재미래전략연구원)| 2024.09.24

공동체성 회복을 위한 도시의 재구성 초연결 시대다. 무한대의 접속이 가능해졌지만 개개인의 고립과 단절은 심화되고 있다. 공동체의 결속력은 약해지고 다른 집단을 향한 혐오는 커지고 있다. 사회 구성원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전망 2019] ② 홍석현 한반도평화만들기 이사장 “脫냉전 후 한반도에 가장 중요한 해 … 정부는 느리더라도 신중하게 움직여야”

이대식 (연구조정실장), 이수민 (커뮤니케이션 SD)| 2019.01.04

脫냉전 후 한반도에 가장 중요한 해 … 정부는 느리더라도 신중하게 움직여야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만나준 자체가 큰 선물 … 김정은이 이제 응분의 결단을 할 때 됐다 2017년이 전쟁 위기에 휩싸인 한 해였다면...

[여시재 북리뷰] 『관자』 CEO형 시장주의자이자 균부를 중시한 계획경제가, 관중에게 길을 묻다 - 『관자』 김필수∙고대혁 외 옮김, 소나무출판사, 2015

이광재 (여시재 원장)| 2019.05.03

관중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관포지교(管鮑之交)의 고사를 떠올릴 것이다. 그러나 관중과 포숙아는 참된 우정으로 맺어진 친구임과 동시에 지금의 산둥반도에 위치한 소국이었던 제나라를 춘추시대 최고의 강대국 반열에 올려놓은 뛰어난...

[동북아협력 워킹페이퍼 #2] 미중경쟁 2050과 동아시아 질서의 미래

손열 (동아시아연구원장)| 2021.10.01

여시재는 미중갈등을 극복하고,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을 이끌 실질적인 정책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해 동북아협력 전문가 워킹그룹을 구성했다. 동북아협력 전문가 워킹그룹은 동북아협력 관련 기관의 전·현직 대표...

[주간 인사이트] 한진해운 파산 3년, 해운업 이대로는 안 된다 - 물류 기업 M&A로 규모 키우고 해운 클러스터 조성해야

이성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물류연구본부 본부장)| 2019.02.28

해운은 우리나라 수출산업 상위 10위권 중 유일한 서비스업이다. 그러나 해운의 2015년 매출은 39조 원이었으나 2016년에 29조 원으로 순식간에 10조 원이 증발했다. 세계 8위 해운선사 한진해운의 파산이 결정적이었다. 2016년은 우리나라...

[혁신가 인터뷰 02] 홍성주(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연구개발계, 자율책임 체제로 재편되어야 합니다.”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혁신가...

[기고] 인공지능과 로봇, 4차산업이 가져올 세상은?

이명호| 2017.06.29

제목: 4차 산업혁명의 미래사회 시나리오 날짜: 2017.6.10 매체: See Futures SUMMER 2017 제 15호-KAIST 미래전략연구소 발간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대결은 인공지능이 이제는 SF 영화의 한 장면에서 현실로 우리 일상 속으로...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