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매경] ⑥ ‘시市·산産·학學’복합체-“4차 산업혁명 미래도시 새 대통령 프로젝트로”

매경취재팀| 2017.04.21

여시재는 매일경제신문과 공동으로 차세대 디지털혁명 시대 도시의 경제적 미래와 이것의 기반이 될 新문명의 가능성을 조망한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시리즈를 기획, 6회에 걸쳐 연재한다.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

[주간 인사이트] “치명적 자연재해가 준 선물, ‘협력의 DNA’가 네덜란드 만들었다” “정부 간섭 최소화, 대학∙기업∙주민이 일상적으로 협의하는 구조” - 네덜란드 과학혁신담당관 인터뷰

이명호| 2019.07.26

성공적 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요인 가운데 우리가 간과하는 부분이 하나 있다. 협력의 정신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따로 놀고, 기업과 대학이 먼 산 쳐다보듯이 하거나 성과를 빼앗으려는 문화로는 더 이상의 발전은 없다. ...

[주간 인사이트] “구글·페이스북·알리바바 자체가 ‘국가’인 시대” 글로벌 거대기업만을 담당하는 ‘기술(Tech) 大使’ 만든 덴마크

이상훈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부원장)| 2019.04.05

2019년 3월 22일 서울 스퀘어 WEWORK에서 주한 덴마크 대사관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해 강연 중인 캐스퍼 클링게 기술대사(왼쪽) 및 토론회 모습 駐在하는 곳은 실리콘밸리와 베이징 2019년 3월 21일 덴마크 서울...

[이슈브리프] 얼음 속에 숨은 북극의 가치, 미국의 미래를 좌우할 수도

나지원| 2017.07.25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북극 전략 (1) 미국 - 얼음 속에 숨은 북극의 가치, 미국의 미래를 좌우할 수도 저자: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No.2017-036 여시재는 국내 5대...

[여시재 제안] ‘Choose France’ 우리도 한번 해보자 - 대통령이 글로벌 100대 기업 CEO 초청해 직접 토론한다면…

이광재 (여시재 원장)| 2019.11.26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초에도 파리 베르사유궁에 주요 기업 CEO 150명을 초청해 프랑스를 선택하세요(Choose France) 행사를 열었다. (사진 출처: AFP) 프랑스 경제 성장을 바라보는 한국...

[여시재는 지금] 한중 공동 ‘2018 신문명도시와 지속가능발전’ 포럼 “우리는 신문명도시를 꿈꾸고 있다” - 반기문 총장 기조연설, 1,000여명 참석 디지털혁명의 미래 치열한 토론

관리자| 2018.11.04

여시재와 중국 칭화(淸華)대 글로벌지속가능발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2018 신문명도시와 지속가능발전 포럼 본행사가 4일 베이징 캐피탈호텔에서 진행됐다. 한-중을 중심으로 미국과 EU 지역에서 온 전문가 등 1,000여명이 참석, 여러...

[여시재 인사이트 / 기후변화] 끊임없이 비상벨 울리는 미국과 중국 모델, 진보·보수 모두 자신들만의 교과서 버릴 때

안병진 (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교수)| 2019.12.17

시사 주간 타임지의 2019 올해의 인물에 선정된 스웨덴 출신의 16세 소녀이자 환경 운동가인 그레타 툰베리 지난 9월 24일 만 16세의 스웨덴 소녀 그레타 툰베리는 유엔 기후정상회의에서 세계 각국의 정상들을...

[이슈브리프] 아베 정권의 농업개혁

이정환 (서울대 일본연구소)| 2017.12.27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농업 정책 (2) 일본 - 아베 정권의 농업개혁 저자: 이정환 (서울대 일본연구소) No.2017-069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공동기획으로 세계...

[이슈브리프] 유럽연합의 신안보 전략: 주요 내용과 쟁점

배병인 (국민대)| 2017.12.05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신안보이슈 (5) 유럽 - 유럽연합의 신안보 전략: 주요 내용과 쟁점 저자: 배병인 (국민대) No.2017-066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혁신가 인터뷰 13] 황승익(한국 NFC) - “규제 개혁이 이루어져야 더 많은 부가가치를 생산하고, 혁신을 선도할 수 있을 것입니다.”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여시재 대담 / 이희옥-이원덕] 中·日의 눈으로 본 한국은? - 이희옥 “중국은 한일 갈등 굉장한 호재로 본다” 이원덕 “일본은 文 정부가 지나치게 나이브하다고 해”

이윤서| 2019.08.27

해방 이후 한국의 선택은 미국이었다. 냉전의 최전선에서 미국에 안보를 맡기고 경제에만 전념해온 것이 한국 현대사다. 소련 중국 등 구 공산권과의 수교를 통한 외교 지평의 확대도 냉전 해체라는 큰 흐름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주간 인사이트] 왜 정규직 노동자의 出産만 보호받고 자영업자의 出産은 보호받지 못하는가? - ‘현재 對 미래의 충돌’, 20세기 제도론 더 이상 사회가 유지될 수 없다

이원재 (LAB2050 대표)| 2019.06.05

4차 산업혁명은 직업과 사무실의 경계를 무너뜨린다. 공유 오피스 위워크에서 일하는 사람들. (사진: 위워크) N잡러와의 대화 저는 N잡러입니다. N잡러가 뭔가요? 한 직장에서 주 5일 일하는 게...

[중앙일보] 수소 혁명② 910℃에서 영하 180도로… 거칠게 다룬 천연가스에서 찾은 친환경 에너지

김도년| 2017.12.11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이슈브리프] 천황에게 인권을: 일본 천황 생전퇴위론의 전개와 쟁점

이은경 (서울대 일본연구소)| 2017.05.29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2017년 개헌논의와 각국의 정치 체제 (3) 일본 - 천황에게 인권을: 일본 천황 생전퇴위론의 전개와 쟁점 저자: 이은경 (서울대...

[이슈리포트] 한국사회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

관리자| 2017.07.17

이슈리포트1. 한국사회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 No.2017-034 이슈리포트2. 한국 혁신생태계의 혁신 방향 - 혁신가 FGI 분석 보고서 No.2017-035 제조업 중심 생산체제의 쇠퇴, 사회 양극화 심화, 취약한 안전망 등...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