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이슈브리프] 유럽의 싱크탱크가 본 한반도

고주현| 2017.06.16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한반도 인식 (5) 유럽 - 유럽의 싱크탱크가 본 한반도 저자: 고주현 (연세-EU 장 모네 센터) No.2017-27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디지털화폐 패권경쟁 ②] 리브라의 전략 변화: 디지털 통화를 둘러싼 주요 쟁점은

발제: 이왕휘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2020.10.12

이왕휘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초청 세미나 코로나19로 언택트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디지털 화폐 도입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최근 중국이 디지털 화폐 도입에 속도를 내면서 미중간 금융패권 경쟁에 대응해야 할 필요성도...

[이슈브리프] 러시아 신동방정책에 대한 중국의 인식

양철 (성균중국연구소)| 2017.10.24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러시아의 신동방정책 (2) 중국 - 러시아 신동방정책에 대한 중국의 인식 저자: 양철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No.2017-053 여시재는 국내 5대...

[한일 공존의 해법을 찾아서 ②] 미중 대립의 시대, 미들파워 협력의 전략적 사고 - 미들파워 협력을 통한 지역 질서 유지... 미중 대립 구도 속 ‘헤지’ 전략

와타나베 츠네오 (사사가와평화재단 수석연구원)| 2020.12.29

일본 안전보장외교정책연구회(SSDP), Security Studies 2020년 12월. Vol 2, No 4. 여시재는 연구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일본 안전보장외교정책연구회(SSDP)와 한일 양국 앞에 놓인 과제를 논의하고 미래지향적 관계로 나아갈...

[중앙일보] 한국은 황우석 사태 이후 겹겹 규제 … “연구자들 거의 포기 상태”

최준호| 2017.12.05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여시재는 지금] “좋은 생각이 모여 더 나은 미래를 만든다” - 여시재 정책제안 공모전 결선대회 개최

이윤서 (SD)| 2020.08.20

여시재 정책제안 공모전에 279개 아이디어 쏟아져 최우수제안자 3인 선정 - 지역 MA를 통한 지역 재구성과 균형발전 (김응석) - 공존의 정치를 실현하는 공존의 정부 (김영욱) - 함께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교육의 변화 (김예진) ...

[중앙일보] 15년 뒤 유전병 치료한 아기 탄생 … 한국선 연구만 해도 처벌

최준호| 2017.12.05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주간 인사이트] 국가 지능망 정비할 ‘데이터廳’ 신설이 필요하다 - 영국은 2011년 설치, 호주 싱가포르 등 주요국 속속 뒤따라가

이광재 (여시재 원장)| 2019.04.12

우리나라가 자타 공인 정보화 강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은 1990년대 말의 인터넷망 구축 때문이었다. 인터넷을 통해 향상된 정보 접근성은 ICT 기술발전의 촉매가 되어 전자정부 및 ICT 발전지수 세계 1위(16년, 국제전기통신연합)...

[주간 인사이트] 그린란드가 中에 공항 건설 요청하자 美 매티스 국방장관이 직접 나서 저지 - 트럼프 ‘그린란드 사고 싶다’ 발언 배경엔 ‘中 자본의 북극 진출’이 있다

홍지영 (연세대학교 미래사회통합연구센터 연구교수)| 2019.09.11

북극항로 (출처: 여시재 나비프로젝트 핸드북 2019, 이성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물류연구본부 본부장 작성) 그린란드는 동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북극항로의 핵 얼마 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여시재 대화 / 제임스 맥건 펜실베니아대 교수] 싱크탱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최원정 (여시재 정책혁신실장)| 2021.10.22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성과를 확산시켜라 엘리트주의에서 벗어나 일반 대중과의 접점을 넓혀라 AI 등 신기술과 경영을 이해하는 리더십이 중요하다 VUCA 시대라고 한다. VUCA는 변동성(Volatilty),...

[전망 2019] ①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고난의 한 해 … 전환기적 고통 깊어야 미래 기약할 수 있다”

황세희 (대외협력팀장), 정슬기 (기초연구센터 SD)| 2018.12.28

고난의 한 해 … 전환기적 고통 깊어야 미래 기약할 수 있다 촛불, 한번 정리하고 갈 때 됐다 대기업들 2세 3세 승계과정서 모두 관료화, 創新 나올 수 없다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는 2019년에 대해 전환기적 고통,...

[여시재는 지금]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AI가 온다

이명호, 임선우| 2018.09.13

우리는 매일 매일 판단을 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며 산다. 흐린 날씨에 우산을 갖고 나갈 것인 가에서부터 지금 내 기분을 달래줄 어떤 음악을 들을 것인가에 대한 선택을 하면서 집을 나온다. 현실 세계는 복잡한 판단과 의사결정의...

[여시재 대담 / 이헌재 - 오코노기 마사오] 이헌재 “일본이 경제 무기화 가능성 보여준 것은 큰 불행” 오코노기 “北 들어갈 때 한일협력 필수적”

황세희, 양보라| 2019.07.18

한-일 관계가 1965년 청구권협정 체결 이후 최대 위기 국면으로 빨려들어가고 있다. 역사 문제에서 비롯된 이견을 빌미로 일본은 전략물자 수출 문제를 끌어들였다. 이제는 동북아 분업구조 동요를 넘어 안보 문제로까지 치닫고 있는...

[중앙일보] “뇌연구는 공상과학 아니다” 일침 놓은 앤디 스와츠 교수

문희철| 2017.11.17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왕선택의 미-중관계 위클리 20호] ‘미국의 귀환’... 바이든, 다자무대 복귀 선언 - 2021년 2월 셋째주 미중관계 위클리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2021.02.23

지난 19일 바이든 대통령은 뮌헨안보회의(MSC)에 화상으로 참여, 미국의 국제 무대로의 복귀를 공식화했다. (출처: AP) 2021년 2월 셋째 주, 미국과 중국은 미국 시간으로 지난 2월 10일 두 정상 간에 1차 접전을 벌인 뒤, 중국과의...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