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혁신가 인터뷰 12] 장영화(OEC) - “모두가 각자의 개성과 능력과 색깔을 가지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초일류 역량 확보 연구보고서] 초일류 역량 확보를 위한 한국 정당의 혁신과제

명지대학교 미래정책센터| 2021.12.02

태재 아카데미는 미-중간 공존과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선도할 정책 개발을 목표로 연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한민국이 세계의 변화를 이끄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우리부터 초일류 국가로 진화하는 것이 선행돼야...

‘대전환의 시대, 산업의 방아쇠를 당기자’ 2차 토론회 17일 개최 -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파트너 등 글로벌 전문가 토론자로 참석 ‘M&A를 통한 개방형 혁신’ 방안 집중 모색

관리자| 2019.04.15

(재)여시재가 주최하는 대전환의 시대, 산업의 방아쇠를 당기자 두 번째 토론회가 17일 국회에서 열립니다. 모두 8회로 계획된 이번 토론회의 첫 번째 토론회는 지난 8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두 번째 토론회 주제는...

[중앙일보] 연료 1g으로 석유 8t 에너지, 한국이 주도하는 인공태양

최준호| 2017.09.21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시사 인사이트] 국경을 넘는 중국의 물 오염, 황해를 다시 본다

관리자| 2018.08.30

우리가 사는 지구 표면의 약 70%는 물이다. 인간의 몸도 그렇다. 물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의 생존에 필수적일 뿐 아니라 물 순환(hydrologic cycle)을 통해 지구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은 잘 관리되면 빈곤감소,...

[이슈브리프] 저성장 시대,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김현철 (서울대 일본연구소장 겸 국제대학원 교수)| 2017.03.14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동북아 정세 변화와 일본사회의 대응 - 저성장 시대, 어떻게 돌파할 것인가? 저자: 김현철 (서울대 일본연구소장 겸 국제대학원 교수) No.2017-10 한국...

ASEM 콘퍼런스 참관기 - 고령화 시대, 우리는 어떤 비전을 가질 것인가

맹지연| 2017.11.09

제목: 제2차 ASEM 노인인권 컨퍼런스 (2nd ASEM Conference on Global Aging and Human Rights of Older Persons) 주최: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 일시: 2017년 9월 19일 - 2017년 9월 21일 장소: 서울 조선웨스틴 호텔 참석자: 김현아...

[시사 인사이트] 미·중의 진짜 전쟁터 AI 경쟁, 국제질서 통째로 흔들어 놓을 것

티테녹 안나 (Анна Титенок, 대외협력팀 SD)| 2018.10.05

AI(인공지능)에 대한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와 국가 차원의 전략적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AI가 가져올 파급 효과가 어디까지, 어느 정도로 미칠지는 아직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이 현대사회 시스템, 국제질서까지 송두리째...

[여시재는 지금] 이헌재 “전 사회적 워크아웃 필요한 때” “60만 군대 인력 활용방안도 고민해야” - 여시재 ‘대전환의 시대, 산업의 방아쇠를 당기자’ 토론회서 기조연설

황세희| 2019.04.09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가 8일 (재)여시재 주최로 시작된 대전환의 시대, 산업의 방아쇠를 당기자 연중 토론회 기조연설에서 현재의 경제-산업의 상황에 대해 전환기적 복합위기라며 전 사회적 워크아웃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이...

[여시재 인사이트 / 북한변화 / 경제·금융 1] 북의 달러·위안화·유로화 의존 80~90%로 위험 수준 - 체제 전환에 큰 부담, 북 거시경제에 대한 대책 필요

최상목 (전 기획재정부 차관)| 2019.10.04

북미 비핵화 실무협상이 재개됐다. 결과는 예단할 수 없다. 하지만 여전히 준비는 필요하다. (재)여시재는 북 거시경제 상황, 제도 변화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최상목 전 기획재정부 차관이 세 번에 걸쳐 북 경제-금융에 대한...

[이슈브리프] 진퇴양난 러시아 경제, 안정화 정책에 초점 맞출 것으로 예상

김동혁, 이상준| 2017.02.23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2017년 세계 경제 전망 (2) 러시아 - 진퇴양난 러시아 경제, 안정화 정책에 초점 맞출 것으로 예상 저자: 김동혁 (고려대), 이상준...

[왕선택의 미-중관계 위클리 22호] 中 양회, 반도체 핵심요소로 하는 ‘기술굴기’ - 2021년 3월 첫째주 미중관계 위클리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2021.03.09

지난 7일 전국인민대표회의가 열린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기자회견을 한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출처: 로이터) 2021년 3월 첫째 주, 미국과 중국은 상대방을 향한 공세적 움직임보다는 각자 내부 전열을...

[여시재 북리뷰] 루스 디프리스 「문명과 식량」, 문명은 ‘밥’을 위한 투쟁, 그러나 자연의 보복은 반복된다

최지은 (SD)| 2018.09.21

세상은 온갖 음식으로 가득합니다. 누군가 곱창을 맛있게 먹는 장면이 방송되면, 곱창집의 웨이팅 리스트가 한없이 길어집니다. 맛 칼럼니스트, 먹방, 푸드스타그램까지, 저를 포함해(!) 사람들은 더 맛있는 음식을 먹기 위해 사는 것...

[중앙일보] 뇌신경에 전극 심자 … 15년 식물인간 깼다

문희철| 2017.11.14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여시재 대화 / 홍윤철 서울대 의대 교수·윤상선 연세대 의대 교수] “코로나19는 아직 확산의 정점에 도달하지 않았다”

정리: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 2020.11.06

코로나19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을 중심으로 2차 확산으로 들어서고 있다. 실시간 세계 통계 사이트인 월드오미터에 의하면 11월 5일 기준 전 세계 확진자 수는 4736만 명에 달한다. 하루 사이 56만 8천여...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