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이슈브리프] 동방경제포럼과 일본

남기정 (서울대 일본연구소)| 2017.10.24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러시아의 신동방정책 (3) 일본 - 동방경제포럼과 일본 저자: 남기정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No.2017-054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주간 인사이트] ‘징비록’ 현장에서 한·일 관계를 돌아보다

남중수 (전 KT 사장)| 2019.07.25

과거와 현재가 싸워 미래를 망가뜨려선 안돼 - 한·일 문화적 유사성, AI 로봇 스마트팩토리 협력 가능성 커 필자는 외가인 안동 하회마을을 자주 간다. 하회마을은 임진왜란의 또 다른 영웅인 서애 류성룡이 영의정 관직을...

[여시재는 지금] “제제 공조와 함께 인센티브 국제 공조도 필요하다”

관리자| 2018.11.19

여시재 포럼서 참석자들 공감 이광재 북 문제 풀려야 동북아 전체 문제도 풀린다 북한에 대한 제재 공조와 함께 인센티브 공조도 필요하다. 지난 18일 서울에서 (재)여시재 주최로 열린 변화 속의 한반도와 나비 프로젝트...

[이슈리포트] 한일 공동 세미나: COVID-19 대응과 포스트 COVID-19의 과제

황세희 (미래디자인실장), 노조에 타마미 (SD)| 2020.09.15

- 프로젝트: 한일 글로벌미래대화 - 자료형식: 성과보고서 - 제목: Global Future Dialogue: Yeosijae x SSDP COVID-19 대응과 포스트 COVID-19의 과제 - 저자: 황세희 미래디자인실장, 노조에 타마미 솔루션...

[매경] ① 도시가 미래다-앤서니 기든스는? 좌우 뛰어넘는 ‘제 3의 길’ 제시한 사회학자

신현규| 2017.04.10

여시재는 매일경제신문과 공동으로 차세대 디지털혁명 시대 도시의 경제적 미래와 이것의 기반이 될 新문명의 가능성을 조망한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시리즈를 기획, 6회에 걸쳐 연재한다.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

[왕선택의 미-중관계 위클리 19호] 평화적인 미중관계 재조정 가능성 커져 - 2021년 2월 둘째주 미중관계 위클리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2021.02.16

지난 2013년 중국 베이징에서 만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시 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출처: AFP) 2021년 2월 둘째 주, 드디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전화 통화를 갖고 주요 관심사에 대한...

[이슈브리프] 세계경제 위기와 일본의 통화·재정 정책

이지평| 2017.08.21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경제 위기와 각국의 대응 (3) 일본 - 세계경제 위기와 일본의 통화·재정 정책 저자: 이지평 (LG경제연구원) No.2017-043 여시재는 국내 5대...

국회 제출된 국가재정법 개정안, 시기상조다

장재철 (KB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 2020.08.25

지금은 재정 역할이 중요한 때, 준칙이 성장 투자 막아선 안돼 성장잠재력 제고를 위한 재정 역할 주목해야 2050년 재정적자와 국가채무 지금보다 두 배로 확대 재정적자와 국가채무 증가로 재정건전성...

혁신의 본질은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에 있다: 태재 연구원이 뽑은 CES 2024 ‘주목할 만한 시선’

윤준영 선임연구원 · 김보경 연구원 · 김우진 연구원 (태재미래전략연구원)| 2024.02.29

CES 2024에서 각국 스타트업이 부스를 차린 베니션 엑스포 유레카파크의 전경 (사진: 김보경) 주목할 만한 시선은 칸 영화제의 비경쟁 부문의 하나로, 세계 영화의 다양한 흐름을 포착하고 영화제의 보수적 성격을 상쇄하기 위해...

[전망 2019] ④ 이희옥 성균관대 성균중국연구소장 - ‘중국식 세계화’가 중국의 종국적 목표, AI 집중은 ‘게임 체인저’ 찾기 위한 움직임

이희옥 (성균관대 성균중국연구소장)| 2019.01.17

1979년 1월 1일 미국과 중국이 수교했고 2019년으로 40주년을 맞았다. 중국이 경제특구를 설치해 해외직접투자를 유치하고, 국제통화기금의 회원국 지위를 회복하는 등 개혁개방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었던 것도 미국의 전략적 지원에...

“김여정의 부상은 ‘권력 위임’ 아닌 김정은 체제 강화”

정리: 박설믜 (SD)| 2020.10.19

[북한진단 2: 글로벌 언론인이 보는 북한과 한반도의 미래] (출처: 조선중앙TV 캡처, 뉴시스) 지난 10일 열린 북한의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가장 주목을 받은 것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눈물이었다....

‘85세 청년들의 사회’를 위한 미래의료와 도시 연구 착수

이명호 (디지털사회 PM)| 2018.11.09

65세 이상이 인구 구성의 40%를 차지하는 사회를 상상할 수 있을까? 2017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는 14%다. 이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이슈브리프] ‘반일국가 한국’을 바라보는 일본

박정진| 2017.06.15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한반도 인식 (3) 일본 - 반일국가 한국을 바라보는 일본 저자: 박정진 (쓰다주쿠대 - 津田塾大学) No.2017-25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중앙일보] 세계 유전체 기술, 도약점 넘어 특이점 향해 치솟고 있다

최준호| 2017.12.04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중앙일보] ‘중입자 미사일’ 암과 전쟁 20년 뒤 끝낸다

김유경| 2017.09.21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