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주간 인사이트] 초인류 對 인류, 새로운 인간 불평등의 기원인가?

이명호| 2018.09.07

인간은 도구를 만들고, 도구는 인간을 만든다는 말이 있다. 인간은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도구를 개발하고 사용하여 왔다. 돌을 던지는 것보다 더 정확히 상대를 맞추기 위하여 활을, 더 많은 것을 옮기기 위해 수레를, 더 잘...

“대도시-농촌 同時 위기 극복 위한 ‘파일럿 시티’ 만들자” - 보아오 포럼서 韓-中 리더들, ‘디지털 기반 新문명도시’ 건설 방안 논의

김윤진| 2019.04.02

대도시는 현대 산업문명의 산물이다. 대량생산 필요성이 사람과 물자와 서비스를 한 곳에 모이게 했다. 200여년 전 유럽에서 시작된 산업문명 기반 도시화는 바다를 건너고 대륙을 가로지르면서 점점 규모가 커졌다. 농촌의 도시화, 도시의...

[중앙일보] 중입자 치료, 까다로운 폐암 완치율 높아

김유경| 2017.09.21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주간 인사이트] 왜 정규직 노동자의 出産만 보호받고 자영업자의 出産은 보호받지 못하는가? - ‘현재 對 미래의 충돌’, 20세기 제도론 더 이상 사회가 유지될 수 없다

이원재 (LAB2050 대표)| 2019.06.05

4차 산업혁명은 직업과 사무실의 경계를 무너뜨린다. 공유 오피스 위워크에서 일하는 사람들. (사진: 위워크) N잡러와의 대화 저는 N잡러입니다. N잡러가 뭔가요? 한 직장에서 주 5일 일하는 게...

[혁신가 인터뷰 10] 김성준(렌딧) – “실리콘밸리의 성공은 일 할 수 있는 환경에서 나온 것입니다.”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열...

[중앙일보] ‘드림머신’으로 타인의 꿈에 들어갈 수 있을까

문희철| 2017.11.15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이슈브리프] 부상하는 중국의 민족주의 그리고 미국음모론

서정경| 2017.09.22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고립주의와 민족주의의 전개 (2) 중국 - 부상하는 중국의 민족주의 그리고 미국음모론 저자: 서정경 (성균중국연구소...

[칼럼] 중국의 ‘공세적’ 핵심이익 정책: 수사가 아닌 현실이 되다

관리자| 2017.06.02

중국의 주변국에 대한 공세적(assertive) 대외정책이 부지불식간에 논쟁 수준을 넘어 현실이 되었다. 친밀(親)∙성실(誠)∙혜택(惠)∙포용(容)으로 대변되는 시진핑(習近平)의 주변국 외교 원칙은 의미 없는 외교적 수사로 전락한지 오래다....

[여시재 인사이트 / 동북아 변화와 홍콩 사태] 홍콩 시위의 본질은 ‘중국化’ 자체가 싫다는 것 - ‘NO 위챗, YES 텔레그램’은 中의 디지털 감시에 대한 강력한 저항

성균중국연구소| 2019.09.23

홍콩에서는 지난 6월 정부의 범죄인 인도법 강행에 반대해 시민 100만 명이 거리로 나온 이후 지금까지 16주째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출처: AP 뉴시스) 9를 만나면 반드시 어지럽다 2019년에도 피하지 못한 중국의...

[시사 인사이트] 북한도 메이지유신을 만든 ‘이와쿠라 사절단’이 필요하다

이광재 (여시재 원장)| 2018.12.21

북한의 개혁 개방은 동북아의 미래에도 직결 북 비핵화가 교착 국면을 쉽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도 숱한 난관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북을 어떻게든 비핵화와 경제개방의 길로 유도하는 것은 시대적 여망에...

[여시재 북리뷰] ‘미군은 어떻게 세계 최강의 군대가 되었나?’ - 토머스 G. 맨켄 「궁극의 군대」

문병철 (8대요소 PM)| 2018.11.01

미군은 어떻게 세계 최강의 군대가 되었나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토머스 G. 맨켄의 궁극의 군대(원제: Technology and the American way of war since 1945)는 2차 세계대전 이후 현대전의 전략적 환경에 적응하면서 진화해온 미군의...

[카드뉴스] 스마트시티 수출에 ‘Team Korea’ 나서자

이윤서 (SD)| 2019.11.27

인도네시아의 새로운 행정수도가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로 건설됩니다. 인도네시아는 총 사업비 40조원 규모로 추정되는 행정수도 이전 프로젝트를 위해 한국과 MOU를 체결하고 본격적인 기술 이전을 받게 됩니다. 도시의...

베이다이허 회의를 통해 살펴보는 중국의 국가 전략

김윤진 선임연구원 · 우약영 연구원 (태재미래전략연구원)| 2023.09.26

매년 7~8월, 중국의 정세를 살피는 사람들은 베이다이허 회의(공식 명칭: 중공중앙하계판공제도) 소식을 기다린다. 1950년대부터 중국 당-국 최고 지도부는 여름철에 베이징을 벗어나, 허베이성 친황다오시 베이다이허(北戴河)에서 함께...

[중앙일보] 연료 1g으로 석유 8t 에너지, 한국이 주도하는 인공태양

최준호| 2017.09.21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초일류 역량 확보 연구보고서] 초일류 역량 확보를 위한 한국 싱크탱크의 혁신과제

명지대학교 미래정책센터| 2021.12.01

태재 아카데미는 미-중간 공존과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선도할 정책 개발을 목표로 연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한민국이 세계의 변화를 이끄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우리부터 초일류 국가로 진화하는 것이 선행돼야...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