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주간 인사이트] “치명적 자연재해가 준 선물, ‘협력의 DNA’가 네덜란드 만들었다” “정부 간섭 최소화, 대학∙기업∙주민이 일상적으로 협의하는 구조” - 네덜란드 과학혁신담당관 인터뷰

이명호| 2019.07.26

성공적 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요인 가운데 우리가 간과하는 부분이 하나 있다. 협력의 정신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따로 놀고, 기업과 대학이 먼 산 쳐다보듯이 하거나 성과를 빼앗으려는 문화로는 더 이상의 발전은 없다. ...

[여시재는 지금] 한중 공동 ‘2018 신문명도시와 지속가능발전’ 포럼 “우리는 신문명도시를 꿈꾸고 있다” - 반기문 총장 기조연설, 1,000여명 참석 디지털혁명의 미래 치열한 토론

관리자| 2018.11.04

여시재와 중국 칭화(淸華)대 글로벌지속가능발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2018 신문명도시와 지속가능발전 포럼 본행사가 4일 베이징 캐피탈호텔에서 진행됐다. 한-중을 중심으로 미국과 EU 지역에서 온 전문가 등 1,000여명이 참석, 여러...

[주간 인사이트] 초인류 對 인류, 새로운 인간 불평등의 기원인가?

이명호| 2018.09.07

인간은 도구를 만들고, 도구는 인간을 만든다는 말이 있다. 인간은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도구를 개발하고 사용하여 왔다. 돌을 던지는 것보다 더 정확히 상대를 맞추기 위하여 활을, 더 많은 것을 옮기기 위해 수레를, 더 잘...

[이슈리포트] 한국사회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

관리자| 2017.07.17

이슈리포트1. 한국사회 혁신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 No.2017-034 이슈리포트2. 한국 혁신생태계의 혁신 방향 - 혁신가 FGI 분석 보고서 No.2017-035 제조업 중심 생산체제의 쇠퇴, 사회 양극화 심화, 취약한 안전망 등...

[중앙일보] 수소 혁명② 910℃에서 영하 180도로… 거칠게 다룬 천연가스에서 찾은 친환경 에너지

김도년| 2017.12.11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이슈브리프] 부상하는 중국의 민족주의 그리고 미국음모론

서정경| 2017.09.22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고립주의와 민족주의의 전개 (2) 중국 - 부상하는 중국의 민족주의 그리고 미국음모론 저자: 서정경 (성균중국연구소...

[이슈브리프] “적극적 평화주의” 국가의 군사화: 일본 아베정부 안보정책의 새로운 지평

박영준 (국방대)| 2017.12.05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신안보이슈 (3) 일본 - 적극적 평화주의 국가의 군사화: 일본 아베정부 안보정책의 새로운 지평 저자: 박영준 (국방대) No.2017-064 여시재는...

[여시재 인사이트 / 동북아 변화와 홍콩 사태] 홍콩 시위의 본질은 ‘중국化’ 자체가 싫다는 것 - ‘NO 위챗, YES 텔레그램’은 中의 디지털 감시에 대한 강력한 저항

성균중국연구소| 2019.09.23

홍콩에서는 지난 6월 정부의 범죄인 인도법 강행에 반대해 시민 100만 명이 거리로 나온 이후 지금까지 16주째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출처: AP 뉴시스) 9를 만나면 반드시 어지럽다 2019년에도 피하지 못한 중국의...

[시사 인사이트] 북한도 메이지유신을 만든 ‘이와쿠라 사절단’이 필요하다

이광재 (여시재 원장)| 2018.12.21

북한의 개혁 개방은 동북아의 미래에도 직결 북 비핵화가 교착 국면을 쉽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도 숱한 난관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북을 어떻게든 비핵화와 경제개방의 길로 유도하는 것은 시대적 여망에...

[중앙일보] ‘드림머신’으로 타인의 꿈에 들어갈 수 있을까

문희철| 2017.11.15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중앙일보] 중입자 치료, 까다로운 폐암 완치율 높아

김유경| 2017.09.21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동북아협력 워킹페이퍼 #1] 동아시아 인프라 협력 현황과 과제

안병민 (한반도경제협력원장)| 2021.09.08

여시재는 미중갈등을 극복하고,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을 이끌 실질적인 정책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해 동북아협력 전문가 워킹그룹 을 구성했다. 동북아협력 전문가 워킹그룹은 동북아협력 관련 기관의 전·현직 대표...

“대도시-농촌 同時 위기 극복 위한 ‘파일럿 시티’ 만들자” - 보아오 포럼서 韓-中 리더들, ‘디지털 기반 新문명도시’ 건설 방안 논의

김윤진| 2019.04.02

대도시는 현대 산업문명의 산물이다. 대량생산 필요성이 사람과 물자와 서비스를 한 곳에 모이게 했다. 200여년 전 유럽에서 시작된 산업문명 기반 도시화는 바다를 건너고 대륙을 가로지르면서 점점 규모가 커졌다. 농촌의 도시화, 도시의...

[칼럼] 중국의 ‘공세적’ 핵심이익 정책: 수사가 아닌 현실이 되다

관리자| 2017.06.02

중국의 주변국에 대한 공세적(assertive) 대외정책이 부지불식간에 논쟁 수준을 넘어 현실이 되었다. 친밀(親)∙성실(誠)∙혜택(惠)∙포용(容)으로 대변되는 시진핑(習近平)의 주변국 외교 원칙은 의미 없는 외교적 수사로 전락한지 오래다....

ASEM 콘퍼런스 참관기 - 고령화 시대, 우리는 어떤 비전을 가질 것인가

맹지연| 2017.11.09

제목: 제2차 ASEM 노인인권 컨퍼런스 (2nd ASEM Conference on Global Aging and Human Rights of Older Persons) 주최: 대한민국 국가인권위원회 일시: 2017년 9월 19일 - 2017년 9월 21일 장소: 서울 조선웨스틴 호텔 참석자: 김현아...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