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여시재는 지금] “민노총 설득해 원격 의료 할 때 됐다” “나눠먹기 전락한 20조 R&D, ‘제로’에서 재설계 필요” - 여시재 ‘미래산업 3차 토론회’

황세희| 2019.05.16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16일 바이오-헬스를 제 2의 반도체로 육성하겠다며, 연구개발(RD) 개편 및 규제 혁파 방안을 곧 발표하겠다고 했다. 바로 이날 (재)여시재는 생명과학 입국 실현을 위한 에코 시스템 구축을 주제로 정책 토론회를...

[여시재 북리뷰] 유현준의 <어디서 살 것인가> 공원까지 30분 對 6~7분, 서울시민과 뉴요커의 차이

이관호 (SD)| 2018.09.13

이번 주에 고른 책은 방송으로 우리에게 친숙한 건축사 유현준의 어디서 살 것인가입니다. 89p를 보면 재미있는 사진 두 장이 나옵니다. 하나는 고시원의 방이고 다른 하나는 교도소의 독방인데요. 비슷함을 넘어서 교도소가 더 나아...

[왕선택의 미-중 관계 위클리] 6호(2020년 11월 둘째주)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북한학 박사)| 2020.11.17

◆ 주간 총평 미국 대선 혼란 지속... 중국, 긴장감 유지... RCEP 출범 11월 3일 진행된 미국 대선 결과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승리한 것으로 집계됐지만, 경쟁자였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선거 결과에 불복하는...

[이슈브리프] ‘반일국가 한국’을 바라보는 일본

박정진| 2017.06.15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한반도 인식 (3) 일본 - 반일국가 한국을 바라보는 일본 저자: 박정진 (쓰다주쿠대 - 津田塾大学) No.2017-25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이슈브리프] 유럽/EU 신재생에너지 전략

이태동 (연세대)| 2017.11.07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에너지 정책 (5) 유럽 - 유럽/EU 신재생에너지 전략 저자: 이태동 (연세대) No.2017-061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공동기획으로 세계...

[중앙일보] 일본 약진의 비결 ‘조기승인제’ 원래는 한국 아이디어

장주영| 2017.10.10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동북아 새 책] 4개국 신간 소개 - ‘엑스트라 타임’ 등

관리자| 2019.06.04

(재)여시재가 미-중-일-러 4개국 신간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4개국 주요 언론에 실린 신간 중에서 우리의 관심을 끌 만한 책을 선별해 2주에 1번꼴로 소개합니다. 이번이 두번째입니다. 미-중-일-러 4개국은 한국과 한반도 운명을...

[혁신가 인터뷰 15] 민동세(도우누리) - “신뢰를 회복하고, 철학과 가치가 정립돼야 정책도 제대로 적용될 수 있다고 봅니다.”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슈브리프] 미국의 에너지 산업과 정책: Back to the Future?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2017.11.07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에너지 정책 (1) 미국 - 미국의 에너지 산업과 정책: Back to the Future? 저자: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No.2017-057 여시재는 국내 5대...

[다음 단계 시대 가치 연구보고서] ‘다음 단계 시대 가치 창조’를 위한 기초 연구

정용화 (전 연세대학교 연구교수, 대통령연설기록비서관)| 2023.05.16

태재미래전략연구원은 인류 공영과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세계 변화를 주도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연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과 지속불가능성이 공존하는 문명사적 대전환의 시대, 지금의 모순을...

[이슈브리프] 일본 아베정권의 대러시아 전략과 북방영토 문제

이종원 (와세다대)| 2017.01.12

제목: 일본 아베정권의 대러시아 전략과 북방영토 문제 저자: 이종원 (와세다대) No.2017-03 지난 2016년 12월 15~16일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이 방일해 아베(安倍晋三) 수상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푸틴 대통령으로서는 2005년...

[여시재 인사이트 / 지속가능발전] 비례대표 1번을 ‘미래세대’에 주자 - 아직 태어나지 않은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을 위하여

김성수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019.10.17

출처: 뉴스 1 올해 신생아 30만 명 하회 100년간 태어나도 3000만 명 불과 오늘도 한국 정치판은 여야 공방으로 뜨겁다. 공직후보자의 적격성을 둘러싸고 죽기 살기식 폭로와 설전을 이어간다. 뿐인가. 정부의...

[주간 인사이트] 미래의 에너지 전력, 1%P씩 10년간 늘면 200조원 추가투자 필요

관리자| 2018.12.20

2018년 1월 10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행사장에 정전이 일어났다. CES는 참가기업 4000개, 참가인원 20만 명인 세계 최대규모 가전쇼다. 2014년 미래형 커넥티드카, 2018년 스마트시티 등 CES의 키워드는...

[주간 인사이트] “2600명 과학기술 연구자들의 열망이 국가 자산이 되기를 소망한다” - 25개 정부출연연 연구자들이 ‘일본발 소재∙부품∙장비 대란’에 부치는 목소리

대표집필/안오성 (정부출연연 과학기술인연합회 총연합회 정책연구소장)| 2019.08.31

일본의 소재부품 수출 제한 조치가 장기화될 우려가 높아지면서 각계 의견이 쏟아지는 가운데, 정부도 빠른 대안을 내놓고 있다. 핵심기술 대외 의존형 국가 성장 모델에 대한 경고음이 울린지도, 대안을 모색한지도 20년이 넘는다. 많은...

[매경] ① 도시가 미래다-앤서니 기든스는? 좌우 뛰어넘는 ‘제 3의 길’ 제시한 사회학자

신현규| 2017.04.10

여시재는 매일경제신문과 공동으로 차세대 디지털혁명 시대 도시의 경제적 미래와 이것의 기반이 될 新문명의 가능성을 조망한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시리즈를 기획, 6회에 걸쳐 연재한다.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