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왕선택의 미-중 관계 위클리] 2호(2020년 10월 셋째주)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북한학 박사)| 2020.10.20

◆ 주간 총평: 미중 갈등 파문 확산... BTS 한국전쟁 발언 봉변 2020년 10월 셋째 주에도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추세가 계속됐다. 특히 이번 주에는 미중 갈등 파장이 세계 곳곳으로 확대되는 양상이 두드러졌는데, 한국도...

[여시재는 지금] “대기업에 스타트업 숨통 열어주게 해야” “구글에 M&A 당하면 만세 부르고 삼성에 M&A 당하면 문제가 되는 상황”… ‘여시재’ 2차 토론회서 ‘M&A 지원센터 설립’ 등 혁신적 제안 쏟아져

관리자| 2019.04.18

윤종록 가천대 석좌교수, 김윤식 시도지사협의회 사무총장, 전병조 전KB증권 사장, 문규학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매니징 파트너, 김병관 국회의원, 문승욱 경남 경제부지사, 이광재 여시재 원장, 최희남...

[여시재는 지금] “동북아 ‘초국가 에너지망’ 구축 본격화할 때 됐다” - 여시재 주최 포럼서 각국 전문가들 제기

티테녹 안나 (Анна Титенок)| 2018.11.20

남-북-중-일-러와 몽골 6개국을 포괄하는 초국가적 동북아 에너지망 구축 논의를 본격화할 때가 됐다는 주장이 국제포럼에서 잇따라 제기됐다. 석탄과 철강이 EU 통합의 매개가 된 것처럼 동북아 지역에선 전력망과 가스라인이 그 역할을...

‘HOME’, 미래의 문명을 바꾸다 - 시·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는 ‘생산과 생활의 플랫폼’, 포스코경영연구원 보고서 공개

관리자| 2019.03.08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의 기술적-문명적 총아다. 디지털 혁명은 인구밀집형 대도시의 강점을 상실케 하고 데이터 밀집형 소규모 스마트도시로의 재편을 가속화시킬 것이다. 스마트홈으로 교육과 의료가 들어오고 그 자체가 생산...

[주간 인사이트] 가마우지 경제, 칠면조 경제가 되지 않기 위해서 - 대기업의 자본과 스타트업의 혁신성을 엮어야

전병조 (전 KB증권 사장, 여시재 자문위원)| 2019.09.06

2008년 금융위기가 블랙스완 단편이라면 미중무역전쟁은 블랙스완 미드 경제는 복잡계다. 경제 활동 주체와 환경요소들이 상호작용하고, 그 상호작용의 영향은 가변적이며 비선형적(non-linear)이다. 시야를 글로벌 경제로 옮기면...

[중앙일보] 수소차 첫 양산 한국, 충전소 없어 멈췄다

김도년| 2017.11.21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2020 금융CEO포럼] 한국 금융의 위기와 기회

여시재| 2020.05.06

여시재와 에너지경제신문은 지난 4월 29일 서울시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한국금융의 위기와기회를 주제로 2020 금융CEO포럼을 공동 주최했다. 포럼은 COVID19 이후 산업 패러다임의 대전환기를 맞아 한국 금융산업이 처한 현실을...

[주간 인사이트] 중국을 때리는 우리의 불편한 진실, 역사에서 배우자

이욱연 (서강대 중국연구소장)| 2018.09.13

이욱연 서강대 중국연구소 소장 / 국제인문학부 교수 ※ 이 글은 여시재의 의뢰로 외부 필자가 집필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중국 단체 관광객이 다시 늘어나고 면세점 매출이 늘어나고 있다. 한류도 다시 중국에...

[세미나] 아베 정권 일본 국가 전략의 전망과 차기 정부의 대 일본 정책

김서희| 2017.04.06

일본 국가 전략 세미나 세션 1: 일본의 방위 정책, 외교 전략 세션 2: 일본의 경제 정책과 정보통신기술 전략 주최·주관: 여시재 일시·장소: 2017년 3월 25일(토요일) / 10:00-12:30, 여시재...

[혁신가 인터뷰 14] 김동찬(만인의 꿈) - “생활자금이나 성장을 위한 자금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금융정책이 있었으면”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중앙일보] 세계 최고 기술∙인력 갖고도 꽁꽁 묶인 한국 유전체 기술

최준호| 2017.12.05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시사 인사이트] 에너지 전환, 100년 만에 찾아온 동북아의 기회이자 위기

김연규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18.11.30

2010년 이후 중국의 본격적인 부상으로 미국과의 세계 패권 주도권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 문제를 관찰하는 데 있어 무역분쟁 등 현재 벌어지는 상황도 중요하지만 지난 50~60년간 미국의 힘과 패권 유지의 주요 동력이...

[이슈리포트] 유라시아 협력과 한국의 전략: 일대일로 구상, 북극항로, 에너지 및 경제협력

관리자| 2017.05.31

프로젝트: 원대한 원 기반연구 제목: 유라시아 협력과 한국의 전략: 일대일로 구상, 북극항로, 에너지 및 경제협력 저자: 여시재 l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No.2017-20 이 보고서는 여시재 동북아팀이 이연호(연세대),...

[시사 인사이트] ‘북 철도 보다 항만 개발이 먼저’라고? 숟가락이냐 젓가락이냐는 질문과 같다

안병민 (한국교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19.02.15

여시재는 지난 2월 8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이성우 물류연구본부장이 쓴 남북 물류협력, 철도 보다 항만이 더 중요하다는 글을 홈페이지에 게재했습니다. 남북경협이 본격적으로 논의되는 시대에 우리 내부의 논의가 철도 연결에 과도하게...

[주간 인사이트] ‘85세 청년들의 사회’, 집이 병원이 된다.

이명호| 2018.08.16

문명의 변화가 환경을 바꾸고 변화하는 환경이 인체를 바꾸고 인체의 변화가 질병을 바꾼다. 질병은 1000년 단위로 축적되는 인체 DNA 변화와 환경요인 간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지금 인류는 문명사적 변화의 시대, 질병도 변하는 시대를...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