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매경] ⑥ ‘시市·산産·학學’복합체-대량소비 메가시티론 한계…‘저비용 스마트시티’로 가야

매경취재팀| 2017.04.21

여시재는 매일경제신문과 공동으로 차세대 디지털혁명 시대 도시의 경제적 미래와 이것의 기반이 될 新문명의 가능성을 조망한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시리즈를 기획, 6회에 걸쳐 연재한다.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

[동북아 새 책] 4개국 신간 소개 - ‘심천 기적’ 등

관리자| 2019.05.10

(재)여시재가 미-중-일-러 4개국 신간 안내를 시작합니다. 4개국 주요 언론에 실린 신간 중에서 우리의 관심을 끌 만한 책을 선별해 2주에 1번꼴로 소개합니다. 4개국은 한국과 한반도 운명을 좌우할만한 나라들입니다. 그들의 관심사에...

[여시재 북리뷰] GDP는 죄가 없다, 다만 문제는 많다 - 다이앤 코일 「GDP 사용설명서」

이우정| 2018.10.12

지난주 통계청이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를 화폐로 환산한 자료를 내놓았다. 1인당(대부분은 여성) 하루 평균 2시간 15분씩 일해서 연간 710만여 원(2014년)의 가치를 생산한다는 내용이다. 2014년 기준 최저임금의 약 2배 수준이며, 우리...

[주간 인사이트] 北이 美 영향력 아래 들어갈 때 中의 선택은? - 中은 北美가 적당히 갈등하고 적당히 대화하는 ‘현상유지’ 원할 것

윤경우 (국민대 중국학부 교수)| 2018.11.01

최근 한반도 정세에는 1년 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극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두 차례의 남북정상회담과 한 차례의 북미정상회담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의 길은 아직 멀다. 특히 북미...

[이슈브리프] 경제위기와 유럽의 통화 및 재정정책

김득갑| 2017.08.21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경제 위기와 각국의 대응 (5) 유럽 - 경제위기와 유럽의 통화 및 재정정책 저자: 김득갑 (연세대 쟝 모네 EU 센터) No.2017-045 여시재는 국내 5대...

[중앙SUNDAY] 2017년 중국 19차 당 대회 지도부 개편, 시진핑의 선택은

관리자| 2017.01.12

1921년 창당된 중국 공산당의 역사는 이제 100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서구식 자본주의·민주주의가 거센 도전에 직면한 지금, 사회주의 국가에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중국 공산당 일당 지배의 장수 비결이 궁금하다. 내년 가을...

[주간 인사이트] 미·중 경제패권, 뜨거운 戰場 - 어디서 發火할 것인가

유진석| 2019.02.28

미·중 무역분쟁이 3월 말 미국에서 열릴 정상회담에서 일단 마무리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전략적 휴전에 해당할 뿐이다. 패권 경쟁이라는 기본 구조가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분쟁은 언제, 어느 지점에서라도 재점화...

[중앙SUNDAY] 김정남 독살, 북중관계 상수와 변수들

관리자| 2017.02.19

일시적으로 냉각은 되겠지만 대북압박 심해지진 않을 듯 ​[김정남 독살] 북중관계 상수와 변수들 북한이 지난 12일 중거리 탄도미사일 북극성 2형을 시험발사하는 장면. [노동신문] 북극성 2형 미사일, 김정남...

[여시재 북리뷰] 오바마와 트럼프, 그리고 미 대기업 CEO들을 사로잡은 미국판 ‘富國 보고서’ ‘왜 제조업 르네상스인가’ - ‘중국과 일본 한국에 뺏긴 제조업 주도권을 어떻게 되찾아올 것인가?’

관리자| 2019.05.14

중국은 지금도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5개년 계획을 시행하는 나라입니다. 제조 2025 처럼 중장기 국가 산업정책의 기조를 담은 계획도 나옵니다. 계획이 나오면 각 산업 부분과 기업들이 여기에 발을 맞춰 움직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여시재는 지금] “손정의를 대통령 자문으로 위촉” “ETRI급 생명과학연구소 설립해야” - ‘대전환의 시대, 산업의 방아쇠를 당기자’ 1차 토론회서 신선한 제안 쏟아져

관리자| 2019.04.09

(재)여시재는 지난 4월 8일 산업의 미래 미래의 산업을 모색하기 위한 연중 대토론회를 시작했다. 대전환의 시대, 산업의 방아쇠를 당기자를 큰 열쇳말로 총 8차례로 계획된 토론회의 첫 공개토론회였다. 여시재는 우리 경제와...

[연구모임] 금융: 뉴 노멀 시대의 새로운 투자처 ‘미술 금융’의 가능성

홍기훈| 2017.04.12

여시재 동북아팀은 변환기의 금융질서와 미래 금융 프로젝트의 연구모임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모임에서는 금융 질서의 현황을 분석하고 지역 금융 질서의 유지를 위한 동북아 각국의 협력 방안 검토를 목표로 한다. 또한 디지털 금융의...

[여시재 북리뷰] 강효백의 「중국 통째로 바로알기」, “일본과 서양이 오도한 중국을 있는 그대로 말하고 싶었다”

문선호 (기초연구센터 SD)| 2018.12.13

부끄러웠다. 강효백은 지난 9월 낸 중국 통째로 바로알기를 이 말로 시작합니다. 책과 매체, 특히 서양과 일본의 서적에서 중국에 대해 얻은 정보가 얼마나 실상과 동떨어진 것인지를 중국에 오래 살면서 절감했기 때문이랍니다....

[혁신가 인터뷰 16] 이지혜(요오리 아시아) - “여성 정책에 대한 정치인과 공무원들의 인식은 여전히 아쉬운 점이 많아요.”

관리자| 2017.09.21

사회 혁신의 맨 앞이기에 누구보다 먼저 겪는 어려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희는 17인의 혁신가들을 만나 이야기를 듣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연구모임] 금융: 제 4차 산업혁명과 경제금융에의 영향

김서희| 2017.03.22

변환기의 금융질서와 미래 금융 프로젝트 연구모임 강연자: 이대기, 금융연구원 연구원 주제: 제 4차 산업혁명과 경제금융에의 영향 일시: 2017년 03월 14일 화요일 / 16:00 - 18:00 참석자: 이용욱(고려대학교 교수),...

[주간 인사이트] ‘진실의 시간’ 맞은 한국경제, 향후 10년은 革新이 日常인 나라로 가야

전병조 (전 KB증권 사장)| 2019.07.08

돈의 세계에도 자연의 법칙은 적용된다. 쌀이 썩고 바위가 닳듯이 돈도 썩는다. 쓰지 않고 착실히 쌓아두기만 했는데도 조금씩 없어질 수가 있다. 돈은 경제 흐름에 따라 가만히 놓아두면 불어나기도 하지만 없어지기도 한다. 돈의...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