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동북아 새 책] 4개국 신간 소개 - 러시아 푸틴 정부의 ‘에너지 사업 보고서’ 등

관리자| 2019.06.24

(재)여시재가 미-중-일-러 4개국 신간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4개국 주요 언론에 실린 신간 중에서 우리의 관심을 끌 만한 책을 선별해 2주에 1번꼴로 소개합니다. 이번이 두번째입니다. 미-중-일-러 4개국은 한국과 한반도 운명을...

[여시재는 지금] 이광재 “북한이 4차 산업혁명의 유력한 실험장 될 수 있다” - ‘여시재 신문명도시’ 포럼서 제기, 유발 하라리 “북이 자율주행차 최초 성공지역 될 수 있다”와 같은 맥락

관리자| 2018.11.04

여시재 이광재 원장이 4일 북한이 4차 산업혁명의 가장 유력한 실험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4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국제포럼 2018 신문명도시와 지속가능발전 국제포럼에서 빠른 경제발전이 필요한...

[인터뷰] 분야별 전문가 5인의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제언

관리자| 2017.07.17

제조업 중심 생산체제의 쇠퇴, 사회 양극화 심화, 취약한 안전망 등 한국사회는 경제, 산업, 사회구조 전반에서 불안한 정체기에 놓여있다. 여시재는 이러한 정체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산업부문의 혁신과 사회문제를 효과적으로...

[여시재는 지금] 양향자 인재개발원장 “일자리 정부 얘기 그만해야” - 여시재 ‘미래산업’ 토론회서

이한결| 2019.07.22

양향자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장은 지난 16일 (재)여시재 주최로 열린 미래산업 인재, 어떻게 키울 것인가 토론회에서 정부 전반에 깔린 관료주의에 대한 답답함을 토로했다. 양 원장은 토론자로 참석했다. 양 원장은 얼마 전 충북...

[이슈브리프] ‘새로운 전쟁’과 미국의 대응: 기술 우위 속에서 규범 확립 고심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2017.12.05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신안보이슈 (1) 미국 - 새로운 전쟁과 미국의 대응: 기술 우위 속에서 규범 확립 고심 저자: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No.2017-062 여시재는...

[여시재 북리뷰] 기본소득운동 주창자 판 레이스의 ‘21세기 기본소득’

이관호 (SD)| 2018.08.23

기본소득은 인간의 자유를 위한 것 한 사회의 모든 성원 개개인들에게, 다른 소득의 원천이 있든 없든, 아무 조건도 내걸지 않고, 현금의 형태로, 그것도 정규적으로 소득을 지급하는 것. 벨기에 출신 정치철학자 필리프...

[중앙SUNDAY] 세계가 묻고 세계가 답하다: 4. 일본-재팬 핸즈를 통한 일본의 공공외교

황세희| 2017.01.12

나라의 앞날이 달린 이슈에 우리가 외교의 기회를 놓치고 있는 사이 다른 나라들은 외교 전략을 전문화하고, 행정부 중심의 정통 외교에 더해 공공·민간 외교 등 다원화된 외교를 펼치고 있다. 대한민국의 스마트한 전략 외교,...

[여시재는 지금] ‘미래산업’ 2차 토론회 -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문규학 對 ‘게임벤처 신화’ 김병관 - “한국 벤처 이대로는 안된다” “銀産분리 수정할 때 됐다”

정슬기 SD| 2019.04.18

김병관 국회의원(좌)과 문규학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매니징파트너(우) 지난 17일 (재) 여시재 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MA를 통한 개방형 혁신 토론회에서 소프트뱅크 비전펀드에서 아시아 지역 투자를 맡고 있는 문규학...

[여시재는 지금] “동남아 국가들과 의료데이터협정 체결하자” “We work를 넘어 We lab으로” - 여시재 ‘미래산업’ 3차 토론회

관리자| 2019.05.16

16일 열린 (재)여시재 주최 대전환의 시대, 산업의 방아쇠를 당기자 3차 토론회에서는 생명과학 입국을 앞당기기 위한 다양한 정책제안들이 나왔다. 당장 시급하거나 하지 않으면 안될 것들이다. 참석자들은 우리 내부에 바이오-헬스...

러시아, 북극항로 운항 선박을 러시아 생산선박으로 제한하는 법안 추진 중

티테녹 안나 (Анна Титенок)| 2018.04.27

여시재는 지속가능성, 디지털사회, 동서양 신문명, 스마트 시티 주제를 고민하는 글로벌 싱크탱크, 신간, 기사를 소개합니다. 주요 쟁점에 대한 국내 관심을 환기하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려 합니다. 네 가지 연구...

[포스트 COVID-19: 글로벌 미래대화 ②] COVID-19 이후의 국제질서 - 채텀하우스

임지영 (SD)| 2020.06.11

여시재는 해외 석학들과 COVID-19가 가져올 영향을 진단하고 변화된 세상을 전망하기 위한 글로벌 미래대화의 두 번째 순서로 5월 29일에는 영국 채텀하우스(영국 왕립 국제문제연구소)와 COVID-19 이후 국제질서와 미중관계를 주제로...

[여시재는 지금] “목선 잡겠다고 수백억 들이게 생겼다” “국민이 군을 이해해줘야 전쟁을 막는 합리적 군대가 된다” - 전인범 전 특전사령관, 여시재 ‘투자국방’ 토론회서

관리자| 2019.07.10

국방을 위해 규제가 있는 것이지 규제를 위해 국방이 존재하는 것 아니다 전인범 예비역 중장(전 특전사령관)은 특전사의 상징 같은 사람이다. 또 미군을 가장 잘 아는 사람, 한미연합사를 만든 주역이기도 하다. 미군들이...

[연구모임] 일본 국가전략: 참의원 선거 이후 정치구도와 정책 전망

관리자| 2016.09.30

일본 국가전략 연구 2차 모임 - 참의원 선거 이후 정치구도와 정책 전망 발제자: 최희식, 국민대학교 교수 주제: 일본 국가전략 연구 - 정치파트 일시: 2016년 9월 27일 (화요일) / 16:00-18:00 사회자: 박영준, 국방대학교...

[매경] ④ 준비안된 한국-“실패한 U시티 전철밟나”…갈길 먼 한국 스마트시티

정순우| 2017.04.17

여시재는 매일경제신문과 공동으로 차세대 디지털혁명 시대 도시의 경제적 미래와 이것의 기반이 될 新문명의 가능성을 조망한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시리즈를 기획, 6회에 걸쳐 연재한다. 신문명 도시가 미래다...

[이슈브리프] 최근 러시아·일본의 밀월 행보: 전망과 의미

김정기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2017.01.12

제목: 최근 러시아·일본의 밀월 행보: 전망과 의미 저자: 김정기 (한양대 아태지역연구센터) No.2017-02 러·일 관계개선의 추이와 특징 (1) 서방의 러시아 제재 상황 하에서 급격한 관계개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