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세계의 변화

[여시재 좌담: 쿼바디스 아메리카] “과거의 미국은 없다... 국제질서 재편 과정서 기회 잡아야”

정리: 이윤서·이성은 (여시재 SD)| 2020.11.06

제46대 미국 대통령 선거가 끝났다. 그러나 핵심 경합 주에서 펼쳐진 초박빙 승부와 우편투표 급증으로 인한 개표 일정 지연 등으로 선거 며칠이 지나도록 승자를 확정하지 못하는 대혼전 상황이 펼쳐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여시재 대화 / 홍윤철 서울대 의대 교수·윤상선 연세대 의대 교수] “코로나19는 아직 확산의 정점에 도달하지 않았다”

정리: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 2020.11.06

코로나19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을 중심으로 2차 확산으로 들어서고 있다. 실시간 세계 통계 사이트인 월드오미터에 의하면 11월 5일 기준 전 세계 확진자 수는 4736만 명에 달한다. 하루 사이 56만 8천여...

커촹반(科创板)을 통한 ‘기술-자본협력모델’이 필요하다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 2020.11.03

- 미중 전쟁과 과학기술 혁명시대의 한중 금융협력 cf. 커촹반(科创板-Sci-Tech Innovation Board: STAR Market) 중국판 나스닥으로 불리는 기술·창업주 전용 주식시장. 우리나라 말로 과학혁신판이라 부른다. 커촹반은...

[왕선택의 미-중 관계 위클리] 4호(2020년 10월 다섯째주)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북한학 박사)| 2020.11.03

◆ 주간 총평 쌍순환 발전 전략: 미국에 대항하는 중국의 장기 구상 10월의 마지막 주에도 미국과 갈등은 전방위적으로 맹렬하게 전개됐다. 중국은 26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된 공산당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제14차 5개년...

[디지털화폐 패권경쟁 ③] 디지털 위안화, 기축 통화 체제를 바꿀 수 있을 것인가

발제: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경희대 China-MBA 객원교수| 2020.10.29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 초청 세미나 코로나19로 언택트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디지털 화폐 도입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최근 중국이 디지털 화폐 도입에 속도를 내면서 미중간 금융패권 경쟁에 대응해야 할 필요성도...

[북리뷰 / Twilight of Democracy] 세계 휩쓰는 권위주의 복고 물결, 민주주의의 황혼은 저무는가? - 미국 영국 스페인 등 민주주의 본산까지 「Twilight of Democracy: The Seductive Lure of Authoritarianism」

티테녹 안나 (SD)| 2020.10.29

제3차 권위주의의 역물결 폴란드, 헝가리, 영국, 스페인, 그리고 미국. 이 국가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OECD 회원국이라는 점 말고는 없을 것 같은 이 나라들의 공통점은 민주주의 제도가 유지되고 있지만 민주주의에 대한...

[왕선택의 미-중 관계 위클리] 3호(2020년 10월 넷째주)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북한학 박사)| 2020.10.27

◆ 주간 총평: 미국 겨냥 항미원조 애국심 캠페인... 한-중 충돌 위기는 넘겨 지난주에도 미중 갈등은 다양한 방면에서 꾸준하게 진행됐다. 특히 두 나라 갈등에 우리나라가 뜻하지 않게 연루될 가능성이 거듭 확인됐다는...

[포스트 COVID-19: 글로벌 미래대화 ⑥] “미-중 냉전식 양극체제는 불가능... 대선 후 전략 대화 시작될 것” - 찰스 쿱찬 조지타운대 교수

정리: 김중배 (여시재 정책위원)| 2020.10.26

박원곤 한동대학교 국제지역학과 교수 대담 진행 한국과 일본이 교량 역할 할 수 있다 북한과의 대화의 문 열어놓아야 미 대선(11월 3일)이 며칠 앞으로 다가왔다. 당선자는 내년 1월 20일 취임하고, 약 6개월 간의...

[왕선택의 미-중 관계 위클리] 2호(2020년 10월 셋째주)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북한학 박사)| 2020.10.20

◆ 주간 총평: 미중 갈등 파문 확산... BTS 한국전쟁 발언 봉변 2020년 10월 셋째 주에도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추세가 계속됐다. 특히 이번 주에는 미중 갈등 파장이 세계 곳곳으로 확대되는 양상이 두드러졌는데, 한국도...

[왕선택의 미-중 관계 위클리] 1호(2020년 10월 둘째주)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북한학 박사)| 2020.10.13

◆ 주간 총평: 키신저, 미중 갈등 양상 경고... 제1차 대전 이전과 유사 2020년 10월 둘째 주에도 미국과 중국 갈등이 고조되는 양상은 계속됐다. 입원 치료 이틀 만에 퇴원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업무 복귀에...

[디지털화폐 패권경쟁 ②] 리브라의 전략 변화: 디지털 통화를 둘러싼 주요 쟁점은

발제: 이왕휘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2020.10.12

이왕휘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초청 세미나 코로나19로 언택트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디지털 화폐 도입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최근 중국이 디지털 화폐 도입에 속도를 내면서 미중간 금융패권 경쟁에 대응해야 할 필요성도...

[디지털화폐 패권경쟁 ①] 디지털 화폐 속도 내는 중국, 결제 시장의 영향력 강화가 우선 목표

발제: 안유화 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교수| 2020.09.25

안유화 성균관대 중국대학원 교수 초청 세미나 달러 패권 도전보다는 현금결제 대체 목표가 우선 중앙은행의 정책 영향력 제고 효과 기대 코로나19로 언택트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디지털 화폐 도입에 대한 논의가...

구글과 페이스북은 왜 해저케이블 기착지에서 홍콩을 배제했을까?

김연규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20.09.18

콘텐츠와 데이터의 시대, 미·중의 바닷속 전쟁 그림 1 태평양 광케이블 네트워크(PLCN) 노선도. LA에서 태평양을 건너 타이완과 필리핀 중간 해역에서 홍콩으로 가는 것이었으나 홍콩 구간이 제외됐다. (출처: Kevin...

‘파벌 담합’이 만드는 일본 총리, 21세기에도 유효할 것인가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 2020.09.11

스가 요시히데 현 일본 관방장관 (출처: 뉴시스) 스가 관방장관 99대 총리 확실시 이어 100대 총리 가능성 커 10월 14일 열릴 일본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스가 요시히데 현 관방장관의 당선이 기정사실화되고...

[포스트 COVID-19: 글로벌미래대화 ⑤] ‘G0’시대의 글로벌 리더십과 미국의 역할 - 조지프 나이 하버드대 석좌교수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전 YTN 통일외교 전문기자)| 2020.08.20

미 민주당의 대표적 전략가이자 소프트파워를 창시한 석학 조지프 나이가 바라본 외교와 도덕성 동맹없는 평화주의는 부도덕한 결과 낳을수도 정치지도자에게 교육자로서의 역할도 요구돼 여시재 글로벌...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