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세계의 변화

[2020 금융CEO포럼] 한국 금융의 위기와 기회

여시재| 2020.05.06

여시재와 에너지경제신문은 지난 4월 29일 서울시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한국금융의 위기와기회를 주제로 2020 금융CEO포럼을 공동 주최했다. 포럼은 COVID19 이후 산업 패러다임의 대전환기를 맞아 한국 금융산업이 처한 현실을...

새로운 세계 무역질서가 필요하다

정주영 (경희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2020.04.22

관세율 19% P 낮추고 교역량 33% P 끌어올린 WTO 체제 미·중 분쟁으로 1차 손상, 코로나19로 복합 위기 맞아 (출처: WTO 홈페이지) WTO와 죄수의 딜레마 사회적 갈등 상황을 분석하는 데 자주...

[코로나 이후 미중분쟁 ①] 코로나19는 국제관계에서도 게임체인저가 될 것인가, 미 금융권력을 더 강화시킬 것인가

이용욱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2020.04.20

(재)여시재는 3년째 이어지고 있는 미-중 무역분쟁이 미칠 세계적 수준의 정치·경제적 파장을 분석하고 향후 우리에게 어떤 과제를 던질 것인지를 전망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전망 연구팀을 구성해 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이용욱...

[코로나 이후의 세계 경제 ② 일본] ‘아베노믹스’ 디플레 탈출 실패에 코로나 중첩되며 ‘戰後 최대의 위기’ 국면으로 - 엔화 향배가 결정적 영향 끼칠 것

김규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20.04.12

필자 김규판은 연세대를 졸업하고 일본 게이오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일본팀장, 선진경제실장 등을 거쳐 현재 선임연구위원으로 있다. 전문 분야는 일본 경제와...

[에너지] 미·러·사우디 ‘원유 치킨게임’은 왜?

이대식 (여시재 도시솔루션실장)| 2020.04.08

미·러·사우디 원유 치킨게임 배경엔 석유산업에 대한 종말론적 위기감 1985년 사우디 4배 증산, 소련 200억 달러 손실로 체제 와해의 길에 들어서 2014~2016년 치킨게임, 베네수엘라가 최대 희생자 당장 현금이 필요한...

[코로나 거버넌스 ② / 중국] 黨 초기대응 실패가 중국 정치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제한적

안치영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원장)| 2020.04.05

黨 초기대응 실패가 중국 정치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제한적 둑 무너뜨려 많은 사람 살리는 방법 어쩔 수 없다 받아들여 베이징 천안문 광장 모습 필자 안치영은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학사),...

[여시재 좌담 / 코로나19 ②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한국이 모든 면에서 가장 좋은 위치, 포스트 코로나 국제체제 주도할 수 있다”

최원정 (커뮤니케이션팀장) · 이윤서 (SD)| 2020.03.31

지금이야말로 거품 걷어내고 혁신투자 집중할 적기 왼쪽부터 홍윤철 서울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김원수 여시재 국제자문위원장, 김희수 KT경영경제연구소장, 전병조 여시재 특별연구원 코로나19는 언제, 어떤 형태로...

[여시재 좌담 / 코로나19 ① 평가] “공공병원 1년에 4번씩 모의훈련… 한국의 뛰어난 기반 우리 스스로도 놀라”

정리 최원정 (커뮤니케이션팀장) · 이윤서 (SD)| 2020.03.30

바이러스와 함께 사는 새로운 일상 준비해야 할때 왼쪽부터 홍윤철 서울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김원수 여시재 국제자문위원장, 김희수 KT경영경제연구소장, 전병조 여시재 특별연구원 코로나19는 언제, 어떤 형태로...

[코로나 거버넌스 ① / 일본] “사회 안정을 위해 개인을 희생시키는 뿌리 깊은 시스템” ‘일본 코로나 수수께끼’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 2020.03.27

필자 황세희 실장은 연세대(학사·석사)를 마치고 일본 게이오대에서 2012년 법학 박사학위를 받은 일본 전문가다. 전공분야는 일본 외교, 미일 동맹, 동아시아 안전보장, 해양 안전보장이다. 박사과정을 밟던 기간에 일본...

[日의 對中 인식 ④·끝] 시진핑 정권의 국제질서관

가와시마 신 (川島真, 도쿄대 교수)| 2020.02.23

국제정치는 국제연합 중시, 국제경제는 자유주의 옹호 현대 일본의 최대 관심사가 중국이라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중국의 변화 미중관계의 미래에 대한 수많은 세미나와 심포지엄, 비공개...

[日의 對中 인식 ③] 韓·日 등 美 동맹국은 中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와타나베 츠네오 (渡部恒雄, 사사가와평화재단 수석연구원)| 2020.02.11

韓·日 등 美 동맹국은 中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對美 군사동맹은 확고하게, 對中 통상·외교는 유연하게 해야 현대 일본의 최대 관심사가 중국이라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중국의 변화...

[日의 對中 인식 ②] “중국 경제의 구조적 불균형 문제 해결이 시급”

다나카 오사무 (田中 修, 일본무역진흥기구 아시아경제연구소 상석주임연구원), 감수∙일본 안전보장외교정책연구회| 2020.01.17

중국 경제의 구조적 불균형 문제 시급히 해결해야 공포 대상 국가에서 존경받는 국가로 전환해야 고령화 속도로 볼 때 남은 시간 많지 않아 현대 일본의 최대 관심사가 중국이라는 것은 쉽게...

[여시재 인사이트 / 에너지 변동 / 이란 사태] 미국은 이란 공격을 통해 무엇을 노리나? - 20년 전 브레진스키, “중-러-이란 동맹이 미국에 가장 큰 위협”

김연규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20.01.14

중∙이란, 5개월 전 2800억 달러 투자 합의 (위)지난 6일 솔레이마니 피살 후 열린 장례식 모습 (출처: 연합뉴스) (아래)7일 이란 혁명수비대 측의 이라크 내 미군 기지 미사일 공격 장면 (출처: AFP) 에너지 문제를...

[日의 對中 인식 ①] “미중 패권 교체, 당분간 없다”

다카하라 아키오 (高原明生, 도쿄대 교수), 감수·일본 안전보장외교정책연구회| 2020.01.09

中, 정치체제·고령화·부족한자원·無동맹·非기축통화 난제 수두룩 美, 많은 나라가 오만한 미국 싫어하는 게 가장 큰 문제 다카하라 아키오(高原明生) 도쿄대 교수 일본...

[여시재 토론 / 에너지 전환기의 한국] 디지털 전환, 그리고 국제정치 관점에서 본 ‘에너지의 모든 것’

황세희| 2019.09.25

초연결이 큰 특징인 디지털 전환은 에너지, 특히 전기 수요의 폭발적 증가를 동반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동아시아는 국가 간 에너지망 연계가 전무한 유일한 지역이다. 유럽은 이미 수십 년 전부터 국가 간, 지역 간에 전기를 사고파는...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