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의 변화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리스크분석본부 신흥경제부장)
2019.09.25Citi(시티은행) 포치(破七)는 대미 무역 합의 기대를 중국이 상당 부분 버렸다는 의미 2019년 하반기 들어 미중 분쟁이 무역과 기술에 이어 환율 부문으로 확산되면서 전면전 양상을 보일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먼저...
성균중국연구소
2019.09.23홍콩에서는 지난 6월 정부의 범죄인 인도법 강행에 반대해 시민 100만 명이 거리로 나온 이후 지금까지 16주째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출처: AP 뉴시스) 9를 만나면 반드시 어지럽다 2019년에도 피하지 못한 중국의...
이석수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
2019.09.19현재 미중 전략 경쟁의 성격에 관한 논쟁이 한창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신냉전으로 부르기도 한다. 두 강대국의 충돌은 구조적이고 전방위적이다. 그 사이에서 각국의 전략적 선택 공간은 점점 좁아지고 있다. 특히 미국에 안보를...
홍지영 (연세대학교 미래사회통합연구센터 연구교수)
2019.09.11북극항로 (출처: 여시재 나비프로젝트 핸드북 2019, 이성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물류연구본부 본부장 작성) 그린란드는 동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북극항로의 핵 얼마 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차태서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2019.09.06미 외교협회 회장의 부고장 덜 자유롭고, 덜 번영하며, 덜 평화로운 세계로 2차 세계대전 후 미국이 주도해 건설하고 수호해온 자유세계질서가 침식되고 있다. 전간기(戰間期 · interwar, 1차 세계대전 종결에서 2차 대전...
대표집필/안오성 (정부출연연 과학기술인연합회 총연합회 정책연구소장)
2019.08.31일본의 소재부품 수출 제한 조치가 장기화될 우려가 높아지면서 각계 의견이 쏟아지는 가운데, 정부도 빠른 대안을 내놓고 있다. 핵심기술 대외 의존형 국가 성장 모델에 대한 경고음이 울린지도, 대안을 모색한지도 20년이 넘는다. 많은...
이윤서
2019.08.27해방 이후 한국의 선택은 미국이었다. 냉전의 최전선에서 미국에 안보를 맡기고 경제에만 전념해온 것이 한국 현대사다. 소련 중국 등 구 공산권과의 수교를 통한 외교 지평의 확대도 냉전 해체라는 큰 흐름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성균중국연구소
2019.08.16지난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일정 중 양자회담을 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출처: tellerchina) 지난해 시작된 미중 무역 분쟁이 지루한 일련의 줄다리기 협상을 통해 타협점을...
이석수 (국방대학교 안보대학원 교수)
2019.07.31미 국무부 스키너 정책기획국장은 미중 경쟁을 문명충돌로까지 묘사했다. 이 주장은 전문가와 여론의 뭇매를 맞았으나 그만큼 두 강대국의 충돌이 구조적이고 심각하다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전방위적으로 치열하게 경쟁하는...
남중수 (전 KT 사장)
2019.07.25과거와 현재가 싸워 미래를 망가뜨려선 안돼 - 한·일 문화적 유사성, AI 로봇 스마트팩토리 협력 가능성 커 필자는 외가인 안동 하회마을을 자주 간다. 하회마을은 임진왜란의 또 다른 영웅인 서애 류성룡이 영의정 관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