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김윤진
2019.01.15우리는 지금 우리가 감지하고 있는 이상의 대전환기를 지나고 있는지 모른다. 북 비핵화 협상 결과는 북한만이 아니라 한반도 전체의 운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미-중의 신냉전 기류는 우리를 강요된 선택의 길로...
성균중국연구소
2019.01.11작년이 중국 개혁개방 40년 되는 해였다면 올해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70주년이 되는 해다. 중국 공산당 지도부 입장에서는 의미가 적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경제 경착륙 우려가 커지고 대외적으로는 무역, 남중국해,...
이명호 SD
2019.01.11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3 인쇄술과 엔진의 사회, 산업사회 연재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디지털의 개념과 역사(링크) 2. 변화의 동력, 지식 패러다임 변화(링크) 3. 인쇄술과 엔진의 사회...
이대식 (연구조정실장), 이수민 (커뮤니케이션 SD)
2019.01.04脫냉전 후 한반도에 가장 중요한 해 … 정부는 느리더라도 신중하게 움직여야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만나준 자체가 큰 선물 … 김정은이 이제 응분의 결단을 할 때 됐다 2017년이 전쟁 위기에 휩싸인 한 해였다면...
황세희 (대외협력팀장), 정슬기 (기초연구센터 SD)
2018.12.28고난의 한 해 … 전환기적 고통 깊어야 미래 기약할 수 있다 촛불, 한번 정리하고 갈 때 됐다 대기업들 2세 3세 승계과정서 모두 관료화, 創新 나올 수 없다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는 2019년에 대해 전환기적 고통,...
이광재 (여시재 원장)
2018.12.21북한의 개혁 개방은 동북아의 미래에도 직결 북 비핵화가 교착 국면을 쉽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도 숱한 난관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북을 어떻게든 비핵화와 경제개방의 길로 유도하는 것은 시대적 여망에...
관리자
2018.12.202018년 1월 10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행사장에 정전이 일어났다. CES는 참가기업 4000개, 참가인원 20만 명인 세계 최대규모 가전쇼다. 2014년 미래형 커넥티드카, 2018년 스마트시티 등 CES의 키워드는...
이명호 (디지털사회 PM)
2018.12.20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2 변화의 동력, 지식패러다임의 변화 연재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디지털의 개념과 역사(링크) 2. 변화의 동력, 지식 패러다임 변화 3. 인쇄술과 엔진의 사회...
박승용 (효성 중공업연구소장)
2018.12.14올해 삼성전자 영국 매장 앞에 국제 환경단체인 그린피스가 재생에너지 사용을 촉구하는 포스터를 내걸었다. 뉴욕 매장에는 태양광 패널을 장착한 트럭을 세웠다. 그린피스 활동가들은 작년 말 서초동 삼성 사옥 앞에서 같은 시위를...
문선호 (기초연구센터 SD)
2018.12.13부끄러웠다. 강효백은 지난 9월 낸 중국 통째로 바로알기를 이 말로 시작합니다. 책과 매체, 특히 서양과 일본의 서적에서 중국에 대해 얻은 정보가 얼마나 실상과 동떨어진 것인지를 중국에 오래 살면서 절감했기 때문이랍니다....
이명호 (디지털사회 PM)
2018.12.13여시재 e-핸드북 발신을 시작합니다. 여시재가 e-핸드북 제작을 시작합니다. e-핸드북은 10회 안팎의 연재물을 통해 해당 이슈에 대한 종합적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재물을 모두 모으면 하나의 e-핸드북이,...
김연규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18.12.07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전쟁은 무역 그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제적 타격을 중국에 가해 군사비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며칠 전엔 중국 최대 기술기업 화웨이 창업자의 딸이자...
성균중국연구소
2018.12.07(재)여시재는 성균중국연구소와 함께 현재 중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와 향후 미-중관계의 향방을 검토하는 중국의 변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 연구 결과를 앞으로 매월 2편의 인사이트 칼럼과 1편의 연구보고서 형태로 독자들과...
민경태 (한반도미래 PM)
2018.12.07고도성장기 한국경제는 섬유 신발 등 노동집약형 수입대체 산업을 거쳐 자동차, 기계, 화학, 조선, 중공업 등 대규모 설비산업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했다. 한국은 독일, 일본, 중국 등과 같이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에 속하지만 최근...
이성은 (기초연구센터)
2018.12.07이 책의 메시지는 사실 단순합니다. 창의성 교육도, 학생주도 수업도 다 좋지만 사실적 지식이 전제되지 않으면 아무것도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교육 현장은 창의성 교육 우선주의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으며, 그 결과 학생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