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日의 對中 인식 ②] “중국 경제의 구조적 불균형 문제 해결이 시급”

다나카 오사무 (田中 修, 일본무역진흥기구 아시아경제연구소 상석주임연구원), 감수∙일본 안전보장외교정책연구회| 2020.01.17

중국 경제의 구조적 불균형 문제 시급히 해결해야 공포 대상 국가에서 존경받는 국가로 전환해야 고령화 속도로 볼 때 남은 시간 많지 않아 현대 일본의 최대 관심사가 중국이라는 것은 쉽게...

[日의 對中 인식 ③] 韓·日 등 美 동맹국은 中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와타나베 츠네오 (渡部恒雄, 사사가와평화재단 수석연구원)| 2020.02.11

韓·日 등 美 동맹국은 中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對美 군사동맹은 확고하게, 對中 통상·외교는 유연하게 해야 현대 일본의 최대 관심사가 중국이라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중국의 변화...

[북리뷰 / The Future is Faster Than You Think] 10년 후 비즈니스와 삶에 대한 ‘종합 안내서’ - 기업 CEO와 정책 리더들을 위한 책 「The Future is Faster Than You Think」

티테녹 안나 (SD)| 2020.08.14

미래로 가기 위해서는 안전벨트를 매라 당신은 10년 후 세상이 어떤 모습일지 상상할 수 있는가? 저자들은 그럴 수 없다고 한다. 책 제목처럼 미래는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빠르기 때문이다. 불과 30년 전까지 100년에 걸쳐...

[바이든 시대, 한국의 전략은 ②] 美 워싱턴 사교계에 ‘한국’은 없다

김영준 (국방대학교 교수·청와대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2020.12.02

이스라엘과 일본의 미국 민심을 파고드는 외교 전략 배워야 미국인의 속물성과 선량함 모두 공략할 수 있어야 트럼프 4년으로 미국은 리더십 실추와 내부 분열이라는 큰 상처를 입었다. 더 나은 재건(Build Back Better)을...

[여시재 제안 / 미래산업] 벤처기업 전문 투자은행을 설립하자 - ‘실리콘밸리은행’의 혁신성 깊이 연구해야

전병조 (여시재 특별연구위원/전 KB증권 사장)| 2020.01.30

혁신기업 육성이 고용과 성장 두 마리 토끼 잡는 열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은 물론 유럽 선진국들은 혁신기업의 육성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고성장하는 혁신기업이 일자리와 성장을 모두 해결하는 가장 효과적인...

[여시재 제안] 정부조직 재편... 지능정보 시대 부합하는 ‘융합적 재설계’ 필요하다

전병조 (여시재 특별연구원·전 KB증권 사장)| 2021.01.15

- 현재 정부조직은 산업화 시대에 최적화... 초일류 경제 목표 달성 어려워 - 경제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책, 경제기획·조정기능과 융합 - 산업혁신부... 혁신 생태계 통합 거버넌스 구축 - 생명과학부... 생명과학 산업을...

[바이든 시대, 한국의 전략은 ①] 오히려 커진 트럼프 세력

김영준 (국방대학교 교수·청와대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2020.11.27

한국인이 보는 미국과 미국인이 사는 미국은 달라 트럼프 4년으로 미국은 리더십 실추와 내부 분열이라는 큰 상처를 입었다. 더 나은 재건(Build Back Better)을 구호로 내세운 조 바이든 당선인의 책상에는 당장 코로나19 종식과...

영국 BP와 스위스 머큐리아는 왜 위안貨를 받고 中에 원유를 팔까?

김연규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20.08.04

한국석유공사가 개발한 UAE 할리바 유전 (출처: 한국석유공사) 中 2년 전 상하이에 원유선물시장 개설 위안화 국제화 위한 준비 작업 2018년 3월 상하이에 세계에서 3번째 원유 선물시장(INE: the Shanghai...

[디지털이 미래다 / 02 / 변화의 동력, 지식패러다임의 변화] “활판인쇄 → 디지털, 600년만의 文明전환”

이명호 (디지털사회 PM)| 2018.12.20

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2 변화의 동력, 지식패러다임의 변화 연재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디지털의 개념과 역사(링크) 2. 변화의 동력, 지식 패러다임 변화 3. 인쇄술과 엔진의 사회...

[디지털이 미래다 / 05 / 인터넷, 대중의 미래를 열다] - 전문가로부터 ‘지식 권력’을 빼앗다

이명호 SD| 2019.02.15

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5 인터넷, 대중의 미래를 열다 연재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디지털의 개념과 역사(링크) 2. 변화의 동력, 지식 패러다임 변화(링크) 3. 인쇄술과 엔진의 사회...

각자도생의 시대, ‘휴머노믹스’를 말하다

전병조 (여시재 특별연구원·전 KB증권 사장)| 2020.12.18

사람답게 사는 세상...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정책 최우선 목표로 자살률 세계 1위 경제성장 이면의 높은 불안 수준 금수저, 흙수저, 헬조선, 이생망. 어느 순간 냉소 가득한 신조어들이 우리 사회를...

[대전환기의 설계자들] ‘無’에서 ‘세계 1위 혁신국가’를 창조한 리콴유 - “정치는 생명을 바쳐 하는 것, 영광을 위해 하는 것이 아니다”

황동일 기획위원| 2019.09.27

편집자 주 대전환기다. 냉전 70년 만에 탈냉전과 미국 단일 패권시대가 왔고, 그 이후 30년 만에 패권 질서 재편의 시기에 들어섰다. 여기에 4차 디지털 기술혁명이 표준 전쟁으로 비화하고 있다. 정치와 경제의 권력이동이 가로...

[포스트 COVID-19: 글로벌 미래대화 ⑧] “한국은 보편적 복지 맞지 않아… 선별적 패키지 지원 적합” - 노벨경제학자 뒤플로 MIT 교수

송보희 (여시재 SD)| 2020.12.07

- 에스테르 뒤플로 MIT 교수와 COVID-19 이후의 불평등을 주제로 대담 진행 - 엘리트에 대한 분노와 불신 확대… 세금으로 불평등 개선해야 COVID-19라는 폭풍이 몰고 온 변화는 깊고 넓다. 이에 여시재는 올 한해...

[전망 2021 ② / 하영선 동아시아연구원 이사장] “세계 질서의 재건축... 한국은 대국과 소국 연결하는 링커 역할해야”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박설믜 (여시재 SD)| 2021.01.12

- 세계 질서의 재건축 설계 단계부터 적극적으로 공동 참여해 공간 확보해야 - 외교 4대 현안(미중관계, 남북관계, 한일관계, 포스트코로나 세계질서) 철저한 준비 필요 - 신뢰 기반으로 미국과 중국 설득할 공간 있어... 운신의 폭...

[여시재 대화]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 ‘액티브 X(active X) 깔고, 뭐 깔고’ 공인인증서의 번거로움 - “블록체인 기반 분산 인증서가 곧 대체할 것”

임선우 SD, 이명호 SD| 2019.12.22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 두 대통령이 해결 나섰지만 실패한 공인인증서 문제 최근 SNS 상에서 동영상 하나가 화제가 되었다. 특히 중년들 사이에서 많은 공감을 얻었다. 액티브 X(active X) 깔고, 뭐 깔고, …...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