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여시재 인사이트 / 4차 산업혁명 시대 정부의 역할 1] 정치 양극화 시대, 이념의 금기 깨뜨릴 정치 거장의 등장 기대한다 - 중국의 흑묘백묘, 빨갱이 비난받은 뉴딜정책, 케인즈의 혼합경제는 무엇을 말하는가

김은환 (작가∙전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장)| 2019.10.18

왼쪽부터 덩샤오핑, 케인즈, 루즈벨트 들어가는 글 축구를 회화에 비유해 보자. 반듯한 직사각형 구장은 캔버스, 저마다 개성을 지닌 선수들은 다양한 컬러의 물감, 그리고 선수들을 이끌고 다니는 공은 물감을 칠하는...

[중앙일보] 베이징 생쥐족, 뉴델리 대기오염 … 도시는 인류 난제 집합체

최준호| 2018.01.02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이슈브리프] ‘일본형 배외주의’의 특징과 현황

김효진| 2017.09.22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고립주의와 민족주의의 전개 (3) 일본 - 일본형 배외주의의 특징과 현황 저자: 김효진 (서울대 일본연구소) No.2017-048 여시재는 국내 5대...

[여시재 대화 / 채이배 전 국회의원] “국내∙외 석학, 여야 망라한 미래 논의 테이블 만들어달라”

김민하 (SD)| 2020.07.02

COVID-19는 이념이 아니라 미래 경쟁을 요구한다 (사진 제공: 채이배 전 국회의원) 20대 국회는 탄핵 국회였다. 반면 이번 21대 국회는 COVID-19 국회다. 그 성격과 과제가 극명하게 다르다. 건널 수 있는 다리가...

[여시재 북리뷰] 일본은 어떻게 부품·소재 강국이 되었나 - 『일본 과학기술 총력전, 근대 150년 체제의 파탄』

황세희 (여시재 대외협력팀장)| 2019.08.20

어느 때보다 한일 관계가 뜨거운 여름이다. 과학기술이 무기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새삼 절감하는 시기에 일본 근대 150년을 과학기술이라는 키워드로 풀어낸 책을 소개하고자 한다. 일본과학기술 총력전-근대 150년 체제의 파탄이다....

중국의 빙상 실크로드와 나비 프로젝트

황세희| 2018.02.02

기후 변화로 북극항로 개방이 현실화되고, 중국은 일대일로에 이어 북극에 주목하고 있다. 1월 26일 중국 국무원이 발표한 북극정책 백서는 북극에 대한 중국의 관심을 보여준다. 중국은 백서에서 1)일대일로 이니셔티브를 바탕으로 북극...

[강연노트] “교육도 융합 필요… 전기전자와 컴퓨터공학부만이라도 영역 경계 없애자”

강연: 윤성로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 2021.03.05

- AI 반도체는 4차산업혁명의 기폭제… 반도체 강점 있는 한국이 선도할 수 있어 - 기술적 혁명(revolution)과 사회적 진화(evolution)의 간극을 메우는 역할할 것 지난 4일 여시재를 찾은 윤성로 대통령직속...

[이슈브리프] 러시아 에너지 수급 구조와 에너지산업의 발전 전망

성원용 (인천대)| 2017.11.07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에너지 정책 (4) 러시아 - 러시아 에너지 수급 구조와 에너지산업의 발전 전망 저자: 성원용 (인천대) No.2017-060 여시재는 국내 5대...

[여시재는 지금/미래의료 토론회 ②] 삼성의료원장 출신 이종철 창원보건소장 - “환자들이 무슨 약인지도 모르고 털어 넣는 것이 지역의료 현실” “보건소라도 원격의료 가능해지도록 해야”

임선우| 2019.09.09

이종철 창원보건소장(71)은 삼성의료원이라는 최고급 민간 의료원의 수장, 창원보건소장이라는 1차 공공 의료기관의 수장이라는, 상이하면서도 독특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2000년부터 11년간 삼성서울병원장과 삼성의료원장을...

[여시재 인사이트 / 에너지 대변동] 동아시아서 벌어지는 미·러·중의 에너지 패권 싸움 “가스 허브 구축을 국가 어젠다로” -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등터지는 새우’ 될 것”

이대식 (도시솔루션실 실장)| 2020.02.05

미국과 러시아가 동아시아를 주시하고 있다 에너지 대변동의 시대다. 국가의 미래를 좌우할만한 수준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등 터지는 새우가 될 수밖에 없다. 변동은 세 축으로 전개되고 있다. 하나는 디지털...

[여시재는 지금] ‘에너지 지정학’ 보고서 3│미-러, ‘21세기 에너지벨트’ 100년 주도권 놓고 각축 - 중국도 ‘북극 강대국’ 선언, 갈등의 波高 높아질 것

김연규 (한양대 국제학부 교수)| 2019.05.22

(재)여시재와 한양대 김연규 교수(산자부 해외자원개발혁신TF 가스분과 위원장)는 21세기 들어 글로벌 에너지 수요-공급 질서가 근본부터 변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그 영향이 동북아, 특히 한반도에 미칠 영향을 연구해왔다. 그...

[여시재 인사이트 / 에너지변동 2] ‘美·日·濠 에너지 동맹’ 구축되고 있다 - 중 겨냥 ‘대륙 對 해양’ 구도 가속화

여시재 에너지 연구팀| 2019.11.14

지난 6월 오사카에서 열린 G20정상회의에서 만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출처: 로이터연합뉴스) 석유의 시대가 저물어가고 가스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에너지의 수요-공급 체인에...

‘니콜라’ 투자 열풍도 수소경제 수용성의 변수다

조성경 (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 교수)| 2021.01.07

- 언론 보도로 살펴본 한국인의 수소경제 인식 - 모호한 개념 구체화할 일관되고 지속적인 소통 전략 필요 클린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수소를 놓고 불꽃튀는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 세계...

[디지털화폐 패권경쟁 ③] 디지털 위안화, 기축 통화 체제를 바꿀 수 있을 것인가

발제: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경희대 China-MBA 객원교수| 2020.10.29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 초청 세미나 코로나19로 언택트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디지털 화폐 도입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최근 중국이 디지털 화폐 도입에 속도를 내면서 미중간 금융패권 경쟁에 대응해야 할 필요성도...

[여시재 좌담: 쿼바디스 아메리카] “과거의 미국은 없다... 국제질서 재편 과정서 기회 잡아야”

정리: 이윤서·이성은 (여시재 SD)| 2020.11.06

제46대 미국 대통령 선거가 끝났다. 그러나 핵심 경합 주에서 펼쳐진 초박빙 승부와 우편투표 급증으로 인한 개표 일정 지연 등으로 선거 며칠이 지나도록 승자를 확정하지 못하는 대혼전 상황이 펼쳐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