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여시재는 지금] “한국과 네덜란드 농업의 격차? 커도 너무 커” “네덜란드엔 ‘협력의 문화’가 있고 한국엔 없다” - 강호진 네덜란드 농무관, ‘여시재’ 4차 토론회서 ‘한국 농수산업’ 현주소 진단

관리자| 2019.05.30

주한 네덜란드대사관 강호진 농무관 이대로라면 100년 걸릴 것 주한 네덜란드대사관 강호진 농무관은 한국 대기업(롯데 중앙연구소)에서 10년 일하다 네덜란드 정부 공무원으로 11년째 일하고 있는 독특한 경력의...

[주간 인사이트 / 군대연구 ③] 전쟁 계획조차 독자적으로 만들지 못하는 한국군 - 미군과 영어로 전술 토론할 장교도 너무 부족하다

포스텍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 국방연구팀| 2019.04.25

(사진: 대한민군 육군) 미래 한국, 열세국가 위협과 우세국가 위협에 동시 직면 미래 한반도 안보환경의 특징은 불확실성과 복합성의 심화다. 지금까지는 한미동맹을 주축으로 북의 위협에 대처하는 데 모든 역량을...

[주간 인사이트 / 무인기 개발 ③·끝] “나는 영혼 있는 연구자가 되고 싶다” - 국가 연구전략, 깊게 변화할 것인가? 아니면 천천히 죽을 것인가?

안오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 (사)출연(연) 과학기술인협의회 총연합회 정책연구소장)| 2019.06.05

연재 순서 ① 창업 13년만에 100억달러 가치 중국 DJI, 기술 먼저 개발하고도 완전히 밀린 한국 드론산업 ② 미국 벨社 보다 뛰어난 성능 國産 틸트로터 무인기, 개발엔 성공 사업화엔 9년째 실패 ③ 나는 영혼 있는 연구자가 되고...

[여시재 인사이트 / 에너지 대변동] 동아시아서 벌어지는 미·러·중의 에너지 패권 싸움 “가스 허브 구축을 국가 어젠다로” -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등터지는 새우’ 될 것”

이대식 (도시솔루션실 실장)| 2020.02.05

미국과 러시아가 동아시아를 주시하고 있다 에너지 대변동의 시대다. 국가의 미래를 좌우할만한 수준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등 터지는 새우가 될 수밖에 없다. 변동은 세 축으로 전개되고 있다. 하나는 디지털...

[주간 인사이트] 빗물 요금제 시급히 도입해야 - 아스팔트로 뒤덮인 도시, 땅이 말라 물과 대기순환 불균형 초래

최지용 (서울대 그린바이오과학기술원 교수)| 2019.02.21

우리나라는 지난 20~30여 년간 물의 경제적·생태적 중요성에 대한 일반의 인식이 높아지고, 중앙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다양한 제도들이 정비되면서 물 관리에 적지 않은 성과가 있었다. 공공 수역 수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여시재 대화 / 채이배 전 국회의원] “국내∙외 석학, 여야 망라한 미래 논의 테이블 만들어달라”

김민하 (SD)| 2020.07.02

COVID-19는 이념이 아니라 미래 경쟁을 요구한다 (사진 제공: 채이배 전 국회의원) 20대 국회는 탄핵 국회였다. 반면 이번 21대 국회는 COVID-19 국회다. 그 성격과 과제가 극명하게 다르다. 건널 수 있는 다리가...

[이슈브리프] 미국 ODA 정책의 퇴보: 최대 공여국의 흔들리는 위상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2018.01.16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ODA 정책 (1) 미국 - 미국 ODA 정책의 퇴보: 최대 공여국의 흔들리는 위상 저자: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2018-006 여시재는 국내 5대...

[여시재 인사이트 / 에너지변동 2] ‘美·日·濠 에너지 동맹’ 구축되고 있다 - 중 겨냥 ‘대륙 對 해양’ 구도 가속화

여시재 에너지 연구팀| 2019.11.14

지난 6월 오사카에서 열린 G20정상회의에서 만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출처: 로이터연합뉴스) 석유의 시대가 저물어가고 가스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에너지의 수요-공급 체인에...

[중국의 변화 ③] 미국은 여전히 혁신기술 생산지, 중국은 여전히 종속적 위치 - ‘중국제조2025’를 둘러싼 미국의 공격과 중국의 방어

성균중국연구소| 2019.01.22

권력(power)은 오래전부터 국제정치학의 핵심개념이었다. 특히 2차 세계대전 후 한동안 주류이론의 패러다임이었던 현실주의는 국제정치의 중심행위자인 국가의 목표를 생존으로 상정했기 때문에 생존수단인 권력을 중시해왔다. 이...

[중국의 변화 ④] 여시재-성균중국연구소 공동연구, 중국은 왜 AI에 높은 관심을 보이나? - 시진핑 “AI는 국제정치에 심대한 영향” “관건은 핵심기술장악”

성균중국연구소| 2019.02.08

AI에 대한 중국의 전략적 관심에 대한 해외의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중국은 이미 국제정치와 글로벌 밸류 체인 판도를 일거에 바꿀 게임 체인저로 AI를 지목했다. 미국 등과의 미래 경쟁의 중심에도 AI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日의 對中 인식 ④·끝] 시진핑 정권의 국제질서관

가와시마 신 (川島真, 도쿄대 교수)| 2020.02.23

국제정치는 국제연합 중시, 국제경제는 자유주의 옹호 현대 일본의 최대 관심사가 중국이라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중국의 변화 미중관계의 미래에 대한 수많은 세미나와 심포지엄, 비공개...

[여시재 e핸드북 / 지속가능 / 황해오염] 황해가 병들고 있다 - 南·北·中 ‘하천 쓰레기 배출 총량제’ 실시 위한 국제협력체 시급

여시재 지속가능성 연구팀, 대표저자 윤성혜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교수)·윤익준 (부경대 법학연구원 교수)| 2020.02.16

(재)여시재가 2019년 한해 진행했던 연구 결과물 발신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미래의료 7편 연재가 진행되고 있으며, 두 번째로 황해오염 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여시재는 지난 한해 원광대...

[강연노트] “교육도 융합 필요… 전기전자와 컴퓨터공학부만이라도 영역 경계 없애자”

강연: 윤성로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장| 2021.03.05

- AI 반도체는 4차산업혁명의 기폭제… 반도체 강점 있는 한국이 선도할 수 있어 - 기술적 혁명(revolution)과 사회적 진화(evolution)의 간극을 메우는 역할할 것 지난 4일 여시재를 찾은 윤성로 대통령직속...

‘니콜라’ 투자 열풍도 수소경제 수용성의 변수다

조성경 (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 교수)| 2021.01.07

- 언론 보도로 살펴본 한국인의 수소경제 인식 - 모호한 개념 구체화할 일관되고 지속적인 소통 전략 필요 클린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수소를 놓고 불꽃튀는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 세계...

[시사 인사이트] 정치엘리트 양성과정 ② 중국 - 9000만 당원에서 8단계 거쳐 주석 1인 압축

황세희| 2018.08.23

중국의 여름 휴가철은 정치적 의미에 있어서 중요하다. 베이다이허(北戴河) 회의가 열기 때문이다. 공산당 정치국 위원을 위시로 한 현직 최고위 관료들과 전직 지도자들이 모여 중국의 국가 현안을 공유하고 토론하고 결정한다. 비공개로...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