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김유경 2017.09.21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태재미래전략연구원 2023.07.25
태재미래전략연구원은 7월 13일 한국고등교육재단 컨퍼런스홀에서 포럼 <디지털 문명, 지속가능의 길을 묻다>를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지난 4월 개최한 포럼 에 이은 두 번째 포럼으로,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이 기조발제를...
관리자 2017.12.13
프로젝트: 변환기의 금융질서와 미래 금융 제목: 국제질서의 정치에서 바라본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위치와 발전 방안 저자: 이용욱 (고려대) No.2017-067 여시재 변환기의 금융 질서와 미래 금융 프로젝트 연구팀에서는 지역 및...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2017.05.29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2017년 개헌논의와 각국의 정치 체제 (1) 미국 - 되살아나는 게리맨더링의 악몽? 미국의 선거구 획정 이슈 저자: 나지원 (동아시아...
신봉길 (인도 대사) 2019.06.12
2018년 7월 인도를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과 모디 인도 총리. (사진: 주 인도 대한민국 대사관 홈페이지) 인도의 국가발전 모델은 한국 모디 인도 총리가 총선에서 압승을 거두었다. 9억 명의 유권자 중 6억 명 이상이...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2017.12.27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농업 정책 (1) 미국 - 미국 농업 3대 쟁점: 무역, 원조, 환경 저자: 나지원 (동아시아 연구원) No.2017-068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이한결 SD 2019.02.28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UBC)의 캐나다-북한 지식교류 협력 프로그램(KPP)은 2011년부터 매년 북한 대학에서 6명의 학자들을 초청해 6개월 과정의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핵 위기가 극단으로 치달았던...
정서은 2017.09.21
혁신을 키우기 위한 정책제안 프로젝트가 중반을 향해 달려가고 있을 즈음, 연구팀은 현장의 혁신가들로부터 모아진 현실 진단과 정책 수요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각 분야 전문가들을 찾아가 심층인터뷰를...
김연규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20.01.14
중∙이란, 5개월 전 2800억 달러 투자 합의 (위)지난 6일 솔레이마니 피살 후 열린 장례식 모습 (출처: 연합뉴스) (아래)7일 이란 혁명수비대 측의 이라크 내 미군 기지 미사일 공격 장면 (출처: AFP) 에너지 문제를...
안치영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원장) 2020.04.05
黨 초기대응 실패가 중국 정치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제한적 둑 무너뜨려 많은 사람 살리는 방법 어쩔 수 없다 받아들여 베이징 천안문 광장 모습 필자 안치영은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학사),...
양갑용 2017.07.25
프로젝트: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 공동기획 - 세계 싱크탱크 동향분석 제목: 각국의 북극 전략 (2) 중국 - 중국과 북극 저자: 양갑용 (성균중국연구소) No.2017-037 여시재는 국내 5대 협력연구기관과 공동기획으로 세계...
티테녹 안나 (Анна Титенок), 황세희 2018.05.15
여시재는 지속가능성, 디지털사회, 동서양 신문명, 스마트 시티 주제를 고민하는 글로벌 싱크탱크, 신간, 기사를 소개합니다. 주요 쟁점에 대한 국내 관심을 환기하고,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려 합니다. 네 가지 연구...
티테녹 안나 (SD) 2020.10.29
제3차 권위주의의 역물결 폴란드, 헝가리, 영국, 스페인, 그리고 미국. 이 국가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OECD 회원국이라는 점 말고는 없을 것 같은 이 나라들의 공통점은 민주주의 제도가 유지되고 있지만 민주주의에 대한...
성균중국연구소 2019.01.11
작년이 중국 개혁개방 40년 되는 해였다면 올해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70주년이 되는 해다. 중국 공산당 지도부 입장에서는 의미가 적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경제 경착륙 우려가 커지고 대외적으로는 무역, 남중국해,...
윤태옥 (중국여행객) 2019.06.14
윤태옥은 미디어 엘리트였다. M.NET 편성국장을 거쳐 팍스인슈 대표가 마지막 직함이었다. 마흔넷이던 2006년, 홀연히 중국으로 떠났다. 낡은 능력을 조금씩 보수해야겠다는 생각이었다 한다. 그로부터 지금까지 14년째, 한국에서 1년의...
태재미래전략연구원 뉴스레터
태재미래전략연구원의 소식을 직접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