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코로나 이후의 세계 경제 ② 일본] ‘아베노믹스’ 디플레 탈출 실패에 코로나 중첩되며 ‘戰後 최대의 위기’ 국면으로 - 엔화 향배가 결정적 영향 끼칠 것

김규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20.04.12

필자 김규판은 연세대를 졸업하고 일본 게이오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일본팀장, 선진경제실장 등을 거쳐 현재 선임연구위원으로 있다. 전문 분야는 일본 경제와...

중국판 ‘긴 전문(Long Telegram)’을 둘러싼 논쟁들, 그리고 한국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 2021.02.05

지난 1월 애틀랜틱 카운슬에 발표된 더 긴 전문: 새로운 미국의 중국 전략을 위해 보고서 (출처: 애틀랜틱 카운슬 홈페이지) 바이든 행정부 취임과 함께 미국 국제정치학계에서는 흥미로운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바로 미국의...

[디지털이 미래다 / 04 / 디지털은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시간의 단축, 공간의 확장, 폭발적으로 진행될 것”

이명호 SD| 2019.01.22

여시재 e-핸드북 디지털이 미래다 #04 디지털은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계산기에서 시작한 컴퓨터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을 거쳐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디지털이라고...

[여시재 대화 / 박지순 고려대학교 교수] “1980년대 형성된 586의 노동 인식, 그땐 맞았지만 지금은 맞지 않아”

이명호 (여시재 기획위원), 이윤서 (SD)| 2020.08.28

유럽선 진보정권이 노동 개혁 이끌었다 (출처: 왼-abas ERP / 오-패스트파이브) 100년 만의 노동 대전환 현대인 불안의 원천은 실업이다. 고용에서 밀려나는 순간 개인의 자존감이 급격히 떨어지는...

주택정책 목표 실현을 어렵게 하는 시장에 대한 7가지 오해

김진유 (경기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교수)| 2020.09.18

정부의 주택시장 규제에 대한 찬반 논란이 뜨겁다. 집값 안정화를 통해 불로소득을 차단하고 내 집 마련을 원하는 서민들의 희망을 키우겠다는 정책 목표를 놓고, 취지의 옳고 그름을 떠나 실현 가능성에 대한 회의적 시각도 적지 않다....

[주간 인사이트] 네덜란드 농민들의 지식공동체 ‘지식 서클’을 주목하라 - 무엇이 세계적 농업강국 네덜란드를 만들었는가

이명호 SD| 2019.03.08

네덜란드는 보면 볼수록 우리나라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나라이다. 인구 1700만 명의 작은 나라가 세계 수출 5위, 명목 GDP 17위인 전형적인 강소국이다. 중계무역 국가이면서도 반도체 장비 등 첨단 제조업 강국이다. 그러나...

[포스트 COVID-19 시대 / 도시 ①] 아프리카 스와질랜드와 같은 뉴욕의 소득불평등 지수

이대식 (여시재 도시솔루션실장)| 2020.05.24

大도시, 어떻게 바꿔나갈 것인가? COVID-19 확산 전후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 모습 (출처: 위 - 게티이미지코리아 / 아래 - tbs) (재)여시재는 2015년 설립 때부터 도시 문명의 위기를 핵심 연구과제로 설정, 위기의...

[기후변화와 감염병] 방역 선진국 한국은 기후대응 후진국, 방역 후진국 유럽은 기후대응 선진국

조천호 (경희사이버대학교 특임교수)| 2020.04.28

코로나 이후 일상 회복 가능하겠지만 기후위기 한번 눈 앞에 나타나면 끝장 필자 조천호는 국내 대표적인 기상과학자다. 초대 국립기상과학원 원장을 지냈다. 지금은 경희사이버대학교에서 재직하며 기후...

[여시재 e핸드북 / 질병과 의료에 대한 쉬운 지식 ①] 질병은 어떻게 탄생하고 어떻게 진화해왔는가 - 고대 도시 키운 交易路가 전염병도 옮겨, AD 165년 ‘안토니우스 역병’으로 로마제국 6만~7,000만 명 사망

여시재 미래의료 연구팀, 대표 저자 홍윤철 (서울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서울대 공공의료사업단장)| 2020.01.26

죽음의 승리 피터르 브뤼헐(1525~1569) (재)여시재가 2019년 한해 진행했던 연구 결과물 발신을 시작합니다. 미래의료 중국의 변화 도시순환과 황해오염 디지털이 바꾸는 세상 등 다양한 분야입니다. 그 첫 번째로...

[주간 인사이트 / 군대연구 ①] ‘완벽한 군인’이라는 존재하지도 않는 허상에 사로잡힌 한국군 - 여시재, ‘군대’ 연구 결과물 첫 공개

관리자| 2019.03.08

(재)여시재는 이 사회가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필요한 분야를 8가지로 분류하고, 포스텍 연구팀과 함께 그 각각에 대한 공동연구를 진행해왔다. 8개 분야는...

“살고, 놀고, 일하라”… 모두가 행복한 도시의 미래

김도년 (성균관대학교 스마트그린시티랩 센터장)·이대식 (재단법인 여시재 기획실장)·손지우 (SK증권 리서치센터 스마트시티 TFT 팀장)| 2020.12.15

- 대한민국 스마트시티 백서 공개 - 핵심철학, 삶의 질 향상∙공동체 회복∙생산의 혁신 - Live-Play-Work가 일체된 스마트홈 기반의 탈중앙화 (재)여시재는 설립 초기부터 인류의 지속불가능 문제에 대한 해법을 새로운...

[포스트 COVID-19 시대 / 新산업 ③ 드론] 고흥+진주+나주, 드론 클러스터 구축이 필요하다 - 기술 수준 미·중의 65% 수준, 한국만의 차별적 기술과 제품 만들어야

여시재 드론산업연구팀 (책임 연구원: 송보희 SD), 공동저자: 강왕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이동체사업단 단장), 강창봉 (항공안전기술원 드론안전본부 본부장), 윤광준 (건국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 스마트드론연구소장)| 2020.06.02

(출처: DARPA) COVID-19는 세계를 넓고 깊게 바꿀 것이다. 한계에 봉착했던 한국의 산업에는 새로운 활로가 될 수 있다. (재)여시재는 지난 1년여간 한국 경제가 나아가야 할 미래산업의 길을 찾기 위해 7차례의 공개 토론회와...

[포스트 COVID-19: 글로벌 미래대화 ⑦] 모두가 주연이 되는 디지털 사회 혁신 - 오드리 탕 대만 디지털 장관

정리: 박설믜 (여시재 SD)| 2020.11.11

COVID-19 사태로 디지털 전환에 가속도가 붙었다. 디지털 경제의 원유로 불리는 데이터의 위력 역시 주목받게 됐다. 데이터를 어떻게 공유하고 활용하는가에 따라 팬데믹 대응의 성과가 갈렸다. 대만은 데이터를 활용한 혁신으로...

구글과 페이스북은 왜 해저케이블 기착지에서 홍콩을 배제했을까?

김연규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20.09.18

콘텐츠와 데이터의 시대, 미·중의 바닷속 전쟁 그림 1 태평양 광케이블 네트워크(PLCN) 노선도. LA에서 태평양을 건너 타이완과 필리핀 중간 해역에서 홍콩으로 가는 것이었으나 홍콩 구간이 제외됐다. (출처: Kevin...

[여시재 e-핸드북] 이스라엘의 나스닥 점령 비결: 탈피오트 대해부

윤종록 (여시재 특별연구원·전 미래창조과학부 차관)| 2020.09.03

이스라엘 정신의 정수 17가지 여시재는 e-핸드북을 제작하고 있다. 특정 이슈에 대한 종합적 지식, 간편한 지식 제공을 목표로 한다. 그동안 디지털이 미래다 질병과 의료에 대한 쉬운 지식 新산업 등을 소재로 세상의...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