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인사이트

각자도생의 시대, ‘휴머노믹스’를 말하다

전병조 (여시재 특별연구원·전 KB증권 사장)| 2020.12.18

사람답게 사는 세상...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정책 최우선 목표로 자살률 세계 1위 경제성장 이면의 높은 불안 수준 금수저, 흙수저, 헬조선, 이생망. 어느 순간 냉소 가득한 신조어들이 우리 사회를...

[왕선택의 미-중 관계 위클리] 10호(2020년 12월 둘째주)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북한학 박사)| 2020.12.15

◆ 주간 총평 미-중, 초보적 단계에서 관계 재조정 작업 착수 바이든, 중국 불공정 무역 관행 지적... 무역 정책 사령탑에 캐서린 타이 지명 중국, 미중 관계 재조정 겨냥 선제적 외교... 이산화탄소 감축 목표치 65%로 상향 ...

[바이든 시대, 한국의 전략은 ⑤] 바이든 통상 정책, 트럼프와 닮은꼴

이효영 (국립외교원 교수)| 2020.12.14

한국은 美도 中도 아닌 중견국 다자주의 통상 연대 모색해야 여시재는 바이든 시대 미국 외교안보정책과 북미관계, 미중 대립의 판도와 통상 정책 등 주요 분야에서 예상되는 변화와 한국의 대응 방안을 점검하는 시리즈를...

팬데믹이 준 기회, 디지털 의료시스템으로 大전환해야

유승현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교수)·이명호 (여시재 기획위원)| 2020.12.11

미국선 비대면 진료 3000% 증가, 한국도 전화 처방 100만 건 돌파 원격의료가 진행되는 모습 (출처: 태백중앙병원) 디지털 없었으면 K-방역도 없었다 인류는 질병 앞에서 미약한 존재였다. 하지만...

[바이든 시대, 한국의 전략은 ④] 내년 3~4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중대 고비... 북미대화 재개 위한 적극적 역할 필요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자문연구위원)| 2020.12.09

북, 비핵화 카드 통한 대미협상 끈 놓지 않을 것 도쿄·베이징올림픽, 동북아 평화 분위기 만드는 기회로 트럼프 집권 4년은 많은 것을 바꿨다. 미국의 대북 접근 방식에도 톱다운으로 이뤄지는 파격적인 전환이 있었다....

[왕선택의 미-중 관계 위클리] 9호(2020년 12월 첫째주)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북한학 박사)| 2020.12.08

◆ 주간 총평 바이든, 트럼프가 부과한 중국 관세 25% 일단 유지 중, 미국에 강온 양면 대응... 외교부는 전랑외교 변호 미 의회 중국 통신 장비 사용할 경우 미군 파견 재고 2020년 12월 첫째 주, 미중 관계는 정중동의...

[포스트 COVID-19: 글로벌 미래대화 ⑧] “한국은 보편적 복지 맞지 않아… 선별적 패키지 지원 적합” - 노벨경제학자 뒤플로 MIT 교수

송보희 (여시재 SD)| 2020.12.07

- 에스테르 뒤플로 MIT 교수와 COVID-19 이후의 불평등을 주제로 대담 진행 - 엘리트에 대한 분노와 불신 확대… 세금으로 불평등 개선해야 COVID-19라는 폭풍이 몰고 온 변화는 깊고 넓다. 이에 여시재는 올 한해...

[바이든 시대, 한국의 전략은 ③] 천리마에 올라 탄 고슴도치가 되자

발제: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 소장)| 2020.12.04

한국, BHT+F: 미용(Beauty)·건강(Health)·기술(Technology)+금융(Finance)에서 최고가 되라 美 압박에 中 첨단기술 개발에 주력할 것 트럼프 4년으로 미국은 리더십 실추와 내부 분열이라는 큰 상처를 입었다. 더...

[바이든 시대, 한국의 전략은 ②] 美 워싱턴 사교계에 ‘한국’은 없다

김영준 (국방대학교 교수·청와대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2020.12.02

이스라엘과 일본의 미국 민심을 파고드는 외교 전략 배워야 미국인의 속물성과 선량함 모두 공략할 수 있어야 트럼프 4년으로 미국은 리더십 실추와 내부 분열이라는 큰 상처를 입었다. 더 나은 재건(Build Back Better)을...

[왕선택의 미-중 관계 위클리] 8호(2020년 11월 넷째주)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북한학 박사)| 2020.12.01

◆ 주간 총평 미·중, 관계 재조정 국면 진입... 신중한 탐색전 양상 트럼프 행정부, 중국 반도체 제조업체 SMIC 제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본격적으로 정권 인수 작업에 나서면서 미국과 중국 관계가...

[바이든 시대, 한국의 전략은 ①] 오히려 커진 트럼프 세력

김영준 (국방대학교 교수·청와대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2020.11.27

한국인이 보는 미국과 미국인이 사는 미국은 달라 트럼프 4년으로 미국은 리더십 실추와 내부 분열이라는 큰 상처를 입었다. 더 나은 재건(Build Back Better)을 구호로 내세운 조 바이든 당선인의 책상에는 당장 코로나19 종식과...

[왕선택의 미-중 관계 위클리] 7호(2020년 11월 셋째주)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북한학 박사)| 2020.11.24

◆ 주간 총평 미 연방 총무청, 바이든 승리 인정... 대선 혼란상 해소 국면 바이든 행정부 첫 국무장관에 토니 블링컨 전 부장관 지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선 불복 행보 20일 만에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

[도시재생 ③] 수십 년 걸리는 빈민가 도시재생, 왜 ‘5년 정권’마다 해결하려 하나 - 영국 미국 일본 사례로 본 ‘호흡 긴 도시재생 사업’

정창무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2020.11.23

여시재는 설립 초기부터 인류의 지속불가능 문제의 핵심 솔루션을 새로운 도시 문명의 창조 속에서 모색해왔다. 자연을 파괴하고 승자독식의 논리가 지배하는 도시에서 벗어나 호혜적 사고를 기반으로 더불어 사는 새로운 도시 모델을 찾는...

[여시재 대담: 프랭크 자누지 맨스필드 재단 대표] “한반도 문제는 미국과 한국이 두 발 묶고 함께 뛰는 경주”

정리: 황세희 (여시재 미래디자인실장), 티테녹 안나 (여시재 SD)| 2020.11.17

- 바이든, (북에) 인내하겠지만 가만히 있지도 않을 것 - 동맹 중시하지만, 동맹에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는다 오판 말아야 - 중국 문제 해결할 묘책은 없어 .... 중국이 직면한 문제들의 해결책 제시하고 함께 성장하는 방법...

[왕선택의 미-중 관계 위클리] 6호(2020년 11월 둘째주)

왕선택 (여시재 정책위원, 북한학 박사)| 2020.11.17

◆ 주간 총평 미국 대선 혼란 지속... 중국, 긴장감 유지... RCEP 출범 11월 3일 진행된 미국 대선 결과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승리한 것으로 집계됐지만, 경쟁자였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선거 결과에 불복하는...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