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사회
태재미래전략연구원
2023.11.27태재미래전략연구원은 지난 10월 16일과 17일 태재대학교, 조선일보와 함께 제1회 태재미래교육포럼(Taejae Future Education Forum) 2023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인공지능 전문가, 대학 총장과 교수진, 연구자를 비롯해 교복을...
태재미래전략연구원
2023.07.25태재미래전략연구원은 7월 13일 한국고등교육재단 컨퍼런스홀에서 포럼 <디지털 문명, 지속가능의 길을 묻다>를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지난 4월 개최한 포럼 에 이은 두 번째 포럼으로,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이 기조발제를...
태재미래전략연구원
2023.05.22태재미래전략연구원은 4월 26일 한국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포럼 AI 시대, 대학의 길을 묻다 를 개최했습니다. 오세정 전 서울대학교 총장이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대학 교육을 주제로 기조발제를 맡았으며, 미국 미네르바대학의...
이규환 연구원 (태재미래전략연구원)
2023.05.09생성형 이미지 AI 미드저니(Midjourney)로 만든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이 경찰에 체포되는 가짜 이미지 (출처: 엘리엇 히긴스 트위터)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미디어는 급격한 환경 변화를 겪어 왔다. 레거시 미디어들은...
태재미래전략연구원
2023.04.28태재미래전략연구원은 4월 26일 한국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포럼 <AI 시대, 대학의 길을 묻다>를 개최했다. 오는 9월 개교를 앞둔 태재대학교, 조선일보와 공동 주관으로 개최한 이번 포럼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현 대학...
태재미래전략연구원
2023.03.23부정선거를 주장하는 친트럼프 시위대에 포위된 미국 의사당 (출처: 로이터=연합뉴스) 정당 본연의 가치 제 역할 못하고 있어 지난해 미국 여론조사 기관인 퓨리서치센터에서 19개국을 대상으로 실행한 정당 간 정치적 갈등...
안솔비 연구원 (태재미래전략연구원)
2023.03.16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브라질 대통령을 지지하는 시위대가 대통령궁을 침입해 국기를 흔들고 있다. (출처: AFP 연합뉴스) 올해 초 브라질에서는 폭도들이 의회와 대통령궁, 대법원을 점거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지난해 치러진...
2019.09.04
몇 년 전 원격의료 허용 여부 문제를 둘러싸고 이 사회가 뜨겁게 달아올랐다. 격지·오지 등 의료 서비스에서 소외된 환자들을 살필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라는 주장과 공공의료를 무너뜨릴 것이라는 주장이 맞서 흐지부지 끝나고...
장석민 인턴
2017.10.13일시·장소: 2017년 10월 13일 오전 9시 / 서울 롯데호텔 2층, 크라스탈볼룸 참석자: 이원재 여시재 기획이사, 장석민 여시재 인턴 연구원 주최: WEF(World Economic Forum), KAIST(한국과학기술원) KAIST와...
2017.03.13
일시·장소: 2017년 3월 13일 오전 10시 / 대한상공회의소 중회의실 A 토론자: 김정호(카이스트 교수), 민경배(경희사이버대 교수), 오세정(국민의당 국회의원/국민정책연구원장), 김세연(바른정당 국회의원), 전승우(동국대...
태재 아카데미
2022.12.22코로나 팬데믹이 세상을 덮친 지 3년이다. 역사 속 문명의 전환기마다 등장했던 팬데믹은 이번에도 예외가 아니었다. 팬데믹을 겪으며 정치, 경제, 사회 전 분야에 걸쳐 기존 시스템이 안고 있는 한계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관성적...
관리자
2022.05.03책 정보 저자: 전병조, 최원정, 황세희, 이대식, 구희상, 티테녹 안나, 유무상 출판사: 이새 (2021.11.05) 페이지: 276쪽 책 소개 초연결 시대가 만들어낸 디지털 신대륙, 미래 국가와 시민의 삶은 어떻게...
관리자
2022.05.03책 정보 저자: 김은환 외 출판사: 이새 (2021.11.05) 페이지: 288쪽 책 소개 신기술, 신산업을 너머 신세계를 지향하는 가상현실 기술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메타버스는 더 이상 생소한 말이...
최성호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경제학) 교수)
2021.04.30- 4차 산업혁명 핵심 분야서 경쟁력·잠재력 갖춘 한국, 만성적 전문 인력난으로 적신호 - 산업계 수요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민간 주도의 산업 인력 양성 체계 재편 요구 - 평생교육시스템의 제도화, 숙련 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