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여시재와 함께 해주십시오. 회원가입으로 여시재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인사이트
박승용 (효성 중공업연구소장)
2018.12.14올해 삼성전자 영국 매장 앞에 국제 환경단체인 그린피스가 재생에너지 사용을 촉구하는 포스터를 내걸었다. 뉴욕 매장에는 태양광 패널을 장착한 트럭을 세웠다. 그린피스 활동가들은 작년 말 서초동 삼성 사옥 앞에서 같은 시위를...
문선호 (기초연구센터 SD)
2018.12.13부끄러웠다. 강효백은 지난 9월 낸 중국 통째로 바로알기를 이 말로 시작합니다. 책과 매체, 특히 서양과 일본의 서적에서 중국에 대해 얻은 정보가 얼마나 실상과 동떨어진 것인지를 중국에 오래 살면서 절감했기 때문이랍니다....
김연규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18.12.07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전쟁은 무역 그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제적 타격을 중국에 가해 군사비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며칠 전엔 중국 최대 기술기업 화웨이 창업자의 딸이자...
민경태 (한반도미래 PM)
2018.12.07고도성장기 한국경제는 섬유 신발 등 노동집약형 수입대체 산업을 거쳐 자동차, 기계, 화학, 조선, 중공업 등 대규모 설비산업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했다. 한국은 독일, 일본, 중국 등과 같이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에 속하지만 최근...
이성은 (기초연구센터)
2018.12.07이 책의 메시지는 사실 단순합니다. 창의성 교육도, 학생주도 수업도 다 좋지만 사실적 지식이 전제되지 않으면 아무것도 안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교육 현장은 창의성 교육 우선주의에 지나치게 치우쳐 있으며, 그 결과 학생들의...
김연규 (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18.11.302010년 이후 중국의 본격적인 부상으로 미국과의 세계 패권 주도권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 문제를 관찰하는 데 있어 무역분쟁 등 현재 벌어지는 상황도 중요하지만 지난 50~60년간 미국의 힘과 패권 유지의 주요 동력이...
임선우 (디지털사회 SD)
2018.11.30데이터 시대라고 합니다. 작년 한 해 세계 데이터 생산량은 16제타바이트(ZB, zettabyte)이며, 데이터 시장 규모는 약 1,508억 달러에 달합니다. 앞으로도 증가 그래프는 더 가팔라질 것입니다. 과거 경제적 가치가 없거나 제대로...
이우정 (한반도미래 SD)
2018.11.30호모 헌드레드(homo hundred)는 의학 및 과학 발달로 100세 장수가 보편화된 시대의 인간을 일컫는 말이다. 2009년 유엔 보고서에서 처음 등장했다. 평균 연령 100세는 머지않아 현실이 될 것이다. 그렇다면 여기에 가장 먼저 도달하는...
임두리 (지속가능성 PM)
2018.11.29세계 인구가 10억 명이 되는 데는 20만 년에 가까운 시간이 걸렸다. 그로부터 65억 명이 증가하여 현재의 75억 명이 되기까지 걸린 시간은 200년에 불과하다. UN은 2050년에는 98억, 2100년에는 112억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
티테녹 안나 (Анна Титенок)
2018.11.20남-북-중-일-러와 몽골 6개국을 포괄하는 초국가적 동북아 에너지망 구축 논의를 본격화할 때가 됐다는 주장이 국제포럼에서 잇따라 제기됐다. 석탄과 철강이 EU 통합의 매개가 된 것처럼 동북아 지역에선 전력망과 가스라인이 그 역할을...
관리자
2018.11.19여시재 포럼서 참석자들 공감 이광재 북 문제 풀려야 동북아 전체 문제도 풀린다 북한에 대한 제재 공조와 함께 인센티브 공조도 필요하다. 지난 18일 서울에서 (재)여시재 주최로 열린 변화 속의 한반도와 나비 프로젝트...
이명호 (디지털사회 PM)
2018.11.0965세 이상이 인구 구성의 40%를 차지하는 사회를 상상할 수 있을까? 2017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는 14%다. 이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관리자
2018.11.04여시재 이광재 원장이 4일 북한이 4차 산업혁명의 가장 유력한 실험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4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국제포럼 2018 신문명도시와 지속가능발전 국제포럼에서 빠른 경제발전이 필요한...
관리자
2018.11.04여시재와 중국 칭화(淸華)대 글로벌지속가능발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2018 신문명도시와 지속가능발전 포럼 본행사가 4일 베이징 캐피탈호텔에서 진행됐다. 한-중을 중심으로 미국과 EU 지역에서 온 전문가 등 1,000여명이 참석, 여러...
윤경우 (국민대 중국학부 교수)
2018.11.01최근 한반도 정세에는 1년 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극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두 차례의 남북정상회담과 한 차례의 북미정상회담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의 길은 아직 멀다. 특히 북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