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상단으로이동

[중앙일보] 일본 약진의 비결 ‘조기승인제’ 원래는 한국 아이디어

장주영

2017.10.10

여시재-카이스트-중앙일보는 <난제위원회>를 구성하고 ‘인류 10대 난제’를 선정했습니다. 선정된 난제는 핵융합발전, 암 극복, 뇌의 비밀, 우주 개발 등 인류가 풀고자 하고 풀어야 하고 난제들입니다. <난제위원회>는 중앙일보 창간특집 기획 ‘인류 10대 난제에 도전하다’를 통해 끊임없이 난제에 도전하며 미래를 개척해 나가는 인류의 현장을 찾고, 한국의 위기와 도전을 점검합니다.


<중앙일보 난제위원회 프로젝트> 시리즈 순서
①핵융합발전
②암 정복
③줄기세포 치료

인류 10대 난제에 도전하다 ③줄기세포 치료

줄기세포 치료법은 난치병 극복의 희망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황우석 사태’의 그림자가 곳곳에 남아 있다. 황 교수 사태 이후 난자 공여나 매매가 전면 금지됐고 연구하려면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치게 했다.

줄기세포 치료제 신속 허가 방식
한국 우물쭈물할 때 일본 먼저 도입
“이대로라면 중국에 뒤처질 수도”

국내 일부 분야 세계적 수준 성과
“기초연구엔 좀 더 유연하게 허용을”

강경선 서울대 생명공학공동연구원 부원장은 “생체줄기세포 치료제를 전통적으로 화학물질을 합성한 의약품과 같은 잣대로 보고 규제하고 있다”며 “미국과 일본은 물론 중국에도 줄기세포 연구에서 뒤처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이 규제에 발목 잡힌 사이 미국 오리건대, 뉴욕줄기세포재단 등에서는 줄기세포 추출에 성공했다. 체세포 복제는 난자의 핵을 제거한 후 다른 사람의 체세포 핵을 주입해 배아줄기세포를 만드는 기술이다.

2014년 차병원 이동률 교수팀은 세계에서 세 번째로 체세포 복제에 성공했지만 규제를 피하기 위해 한국이 아닌 미국에서 수행해야 했다. 지난해 이 교수팀은 7년 만에 체세포 복제 방식의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조건부 승인받았다. 하지만 이 역시 얼린 상태인 동결난자만 사용해야 한다. 동결난자는 비동결난자에 비해 성공률이 떨어진다. 이 교수는 “임상과 연구를 분리해서 미국이나 선진국처럼 기초 연구에 대해서는 좀 더 유연하게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줄기세포 치료제 허가를 빨리 진행하는 신속허가 방식도 원래 한국이 아이디어를 냈다. 그러나 우리가 우물쭈물하는 사이 일본은 줄기세포 치료제를 재생의료로 정의하면서 2014년 이 제도를 도입했다. 최근에는 한 수 아래로 여겼던 중국마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줄기세포 임상사용지침(2015년)을 만들었고 조만간 중국과학원(CAS)은 파킨슨병 환자에 대한 첫 임상시험도 진행한다고 밝혔다.

황우석 사태의 그늘과 규제 틈바구니에서도 국내 연구진이 주목할 만한 연구를 진행 중인 점은 긍정적이다. 연세대 의대 김동욱 교수팀은 배아줄기세포로부터 발암성이 제거된 신경전구세포를 분화시켜 이를 척수 손상 환자에게 적용하는 임상시험을 준비 중이다. 이런 방식은 세계 최초다.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파킨슨병 세포치료제도 원숭이 실험을 완료하고 올해 말부터 상업화를 위한 안전성·유효성 시험에 본격적으로 들어간다. 김 교수는 “안전성 시험이 끝나면 곧 임상에 들어갈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주요 선진국과 경쟁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차의과대 줄기세포연구소의 송지환 교수팀은 최근 면역형 10종으로 유도만능줄기(iPS) 세포를 만들었다. 한국인의 41.2%가 별다른 면역거부반응 없이 이식수술을 받을 수 있는 iPS 세포다. 송 교수는 “지난 10년간 한국의 줄기세포 연구는 황우석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암흑기였지만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이제 빛이 보이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장주영 기자)

③줄기세포 치료 다른 기사 보기
유도만능-배아줄기세포, 방법은 달라도 난치병 극복 목표 향하는 연구
윤리 논란 적은 신줄기세포 “파킨슨병은 10년 내 잡는다”
“일본 CiRA, 규모·시설 모두 압도적 … 한국은 우수한 연구인력 강점 살려야”

하단 첨부파일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의 원문 확장판 PDF를 내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 저작권자 © 태재미래전략연구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콘텐츠 연재물:

연관 태그